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캄보디아 화장품 시장동향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이직수
  • 2018-01-12
  • 출처 : KOTRA

- 유사품이나 번역기 사용해 한글 상표 붙은 '기형제품' 판매 -

- 고가 제품군보다 중저가 판매전략으로 넓은 소비층 확보하는 점진적 전략 필요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화장품(HS Code 3304)

    -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의약품은 제외하며, 서스크린과 선택 제품류를 포함한다),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용 제품류  


 수입동향


캄보디아 화장품 수입동향(HS Code 3304 기준)

구분

2012년

2013

2014

2015

2016

수입액(천 달러)

36,896

38,410

33,114

32,252

41,372

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액(천 달러)

1,359

1,928

2,968

4,462

7,504

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액 증감률(%)

-

42

54

50

68

자료원: 트레이드맵(Mirrored Data)

 

  ㅇ 5년간 한국의 대캄보디아 화장품 수출액은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ITC 트레이드맵에 따르면 2016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18%의 증가량을 보임. 베트남, 태국등의 인근지를 통해 수입되는 화장품이나 소규모 보부상에 의해 유통되는 물량(공식 통계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도 다대)까지 감안했을 때 캄보디아 시장 내 한국 화장품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


□ 캄보디아 화장품 시장 및 수요동향 

 

  ㅇ 2017년 유로모니터(Euromonitor) 통계에 따르면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673억 달러로 전년대비 8.8% 증가함. 2017년을 기점으로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해 2020년까지 연평균 10% 이상 성장해 2020107억 달러까지 성장하는 아세안 산업의 주력성장동력으로 내다봄.


  ㅇ 캄보디아는 아직 자체적인 화장품 생산이 불가해 색조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함. 일부 로컬기업에서 화장품 원료만 수입해 자제 조합해 판매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이 미허가 제품임.


  ㅇ 5년 이상 평균 7%의 경제성장이 지속됨에 따라 중산층 및 신규 소비자군이 늘어나면서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고가의 수입품보다는 중저가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고 대형 글로벌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국가브랜드의 이미지가 수요에 큰 영향을 끼침.

    -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지만 정식 수입품의 경우 고가인 경우가 다대해 일부 시장에서는 제품에 한글로 오번역 된 상표를 붙여 파는 제품이 유통되는 경우도 발생. 이는 역설적으로 캄보디아 내 소비자들 사이에 '한국 제품'이라는 제품에 대한 신뢰와 수요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반증하는 사회적 현상이기도 함. 

 

  ㅇ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최근 동남아 소비층 사이의 한류 드라마, K-Pop 아이돌 인기 등도 큰 영향. 캄보디아 TV 기본방송 중 한국 글로벌 프랜차이즈 방송(Global TVN, KBS World, Mnet )이 각 케이블사당 3~4개 운영 중이며, 한국 드라마나 영화를 수입해 캄보디아어 더빙 후 방영하는 경우도 다대 

 

캄보디아 최대 통신사인 SMART사 주최의 한국인기 아이돌 씨엘(CL) 초청 콘서트

자료원: 구글이미지


□ 캄보디아 내 화장품 판매통로 확대 및 다양화


  ㅇ 최근 소비층의 증가에 따라 캄보디아 프놈펜 시내 대형유통점 신축으로 기존 소규모 직영 지점, 판매대, 보부상을 통한 판매구조에서 대형 백화점이나 유통점 내 판매까지 한국 화장품의 판매통로 확대


  ㅇ 2017년 태국의 창고형 대형유통점인 Makro 프놈펜점이 공식 개점했음. 이어 Parkson(팍슨), 2Aeon Mall(이온몰) 등의 백화점이 2018년 내 준공을 완료할 예정임.


캄보디아 프놈펜 시내 대형유통점 및 백화점

external_image

주: (왼쪽부터 차례대로) Makro, Parkson, Aeon Mall 2 조감도

자료원: Makro 페이스북 계정, Phnom Penh Post, Khmer Times


□ 시사점


  ㅇ 중산 소비층이 확대될 전망에 따라 캄보디아 내 화장품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다대하지만, 아직 소비층 규모에 비해 소비수준 성장속도 간 다소의 차이가 있어, 단기적인 진출효과를 누리기에는 시장의 성숙도 부족


  ㅇ 한국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은 만큼 모조품, 인터넷 번역기를 활용한 한글표기 제품이 판매되는 사례 발생. 자사 제품의 브랜드명 및 특허보호를 위해 현지 정부로 자사제품 정식 등록 절차 준수로 리스크 관리 필요


  ㅇ 한류드라마, K-Pop의 인기로 인한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 및 신뢰가 소비자 내 형성돼 있으나 소비력의 한계로 고가의 제품군 형성보다는 중저가 판매전략으로 넓은 소비층을 확보해 브랜드명을 인식시키는 점진적 시장진출 전략이 필요


  ㅇ 최근 캄보디아 내 창고형 유통지점, 대형 백화점 형태의 판매통로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 유통지점 내 판매점을 입점하거나, 지점 내 이벤트성의 프로모션 등 다양한 판매형식을 고려한 브랜드화 전략이 가능할 전망 



자료원: 구글이미지, 트레이트맵, Makro 페이스북 계정, Phnom Penh Post, Khmer Times,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캄보디아 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