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러시아 조선기자재 시장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
  • 2017-12-08
  • 출처 : KOTRA

- 어선 부족 및 노후화에 선박수리 및 건조시장 활성화 예상 -

- 각종 전시회 등 행사를 통해 시장 파악 후 진출 접점 찾아야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기준 러시아 조선산업 구조

    - 현재 러시아 내 조선산업 관련 기업은 협력업체 포함 약 2200개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 70만 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2016년 말 기준 세계 조선소 총생산량 중 러시아의 점유율은 0.6%로 미미한 편이며, 특히 군수분야(군함, 잠수함 등)에 비해 민간 부분의 조선업 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늦은 것으로 알려짐.

    

  ㅇ 러시아의 선박 수입규모

    - 2016년 러시아의 선박 수입액 약 19억 달러 중 대한 수입량은 5억2000만 달러로, 한국이 1위를 차지하고 있음.


러시아 선박 수입 현황(HS Code 89)

국가명

규모(백만 달러)

비중(%)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전체

1,428

1,213

1,896

100.00

100.00

100.00

한국

201

47

523

14.14

0.39

27.59

  

  ㅇ 어선부족노후화 문제로 인한 수리조선소 건립 추진 중

    - 러시아 정부는 2030년까지 360척의 어선 건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으며, 그에 소요될 자금은 100~120억 달러로 추정됨.

    - 1200척의 러시아 어선 중 30%30년이 넘었으며 평균 선령은 28년이며, 2009년 이후 러시아에서 건조된 어선은 16(그중 10척은 소형)에 불과함.

    - 어선 건조가 가능한 러시아 내 조선소는 5곳 정도이며 연간 2~3척 정도 건조가 가능함. 그 중에서도 대형 트롤선을 건조할 수 있는 조선소는 3곳 정도임.

    - 러시아 내 어선 부족노후화로 인한 러시아의 어선부족 현상은 2020년부터 표면화될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극동 각 지방정부도 수리조선소 재건 등을 통한 어선 건조 노력 중임.

 

  ㅇ 상트페테르부르크 내 조선산업 클러스터

    - 기존 클러스터의 2015년 생산량은 약 15억 달러였으며, 현재 신규 클러스터를 개발하기 위해 정부에서 노력하고 있음. Vyborg 지역에 위치한 조선소를 발전시키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하며, 레닌그라드 정부는 2017년 내 조선 및 선박 수리 업체를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조선 클러스터 개발을 준비 중에 있음(자료원: Kommersant).

 

최근 3개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조선기자재 산업은 예외적인 부분이 많아 HS Code 한 개로 표현하기 어렵고 통일된 통계수치를 얻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음.


  ㅇ 러시아에서 대한 수입량이 어느 정도 있고 한국의 수입점유율이 높은 제품을 선별해 아래에 제시함.

 

 선박용 펌프 수입동향(HS Code 8413.3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수입국

규모

비중

증감률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16/'15)

 

전체

177.1

119.7

144.7

100.00

100.00

100.00

20.89

1

중국

30.7

23.2

27.3

17.38

19.37

18.86

17.67

2

체코

31.3

19.8

25

17.71

16.55

17.33

26.62

3

독일

25.7

18.3

19.6

14.56

15.36

13.60

7.02

4

일본

14.4

9

11.2

8.16

7.57

7.79

24.52

5

미국

11.2

9.1

9.8

6.37

7.63

6.80

7.78

6

한국

11.6

7.2

9.2

6.56

6.09

6.41

27.40

7

이탈리아

4.4

4.1

7.6

2.53

3.50

5.28

82.43

8

프랑스

8

5.4

6.2

4.57

4.52

4.34

16.05

9

벨라루스

3.6

3.9

6.2

2.07

3.26

4.30

59.42

10

스페인

4

4

5.4

2.30

3.36

3.76

35.59

주: 수입관세율 0%, 부가가치세 18%

 

선박 보트 추진기 및 블레이드 수입동향(HS Code 8487.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규모

비중

증감률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16/'15)

- 

전체

9,495.3

5,903.7

9,258.4

100.00

100.00

100.00

56.82

1

중국

390.7

148.7

2,829.3

4.12

2.52

30.56

1802.51

2

체코

0

503.1

2,505.1

0.00

8.52

27.06

397.90

3

우크라이나

0

236.2

1,905.1

0.00

4.00

20.58

706.47

4

대만

1,162.3

610.9

664.3

12.24

10.35

7.18

8.74

5

네덜란드

1.8

259.7

353.6

0.02

4.40

3.82

36.15

6

미국

720.9

330.8

353.4

7.59

5.60

3.82

6.81

7

일본

541.9

352.2

318.8

5.71

5.97

3.44

- 9.49

8

이탈리아

312

134

97.5

3.29

2.27

1.05

- 27.21

9

한국

159.8

113.3

75.1

1.68

1.92

0.81

- 33.66

10

영국

199.7

94.8

49.7

2.10

1.61

0.54

- 47.57

주: 수입관세율 5%, 부가가치세 18%


선박 추진용 엔진 수입동향(HS Code 8408.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규모

비중

증감률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16/'15)

 

전체

63,997.5

31,513.2

48,505.5

100.00

100.00

100.00

53.92

1

중국

6,848.8

1,924.5

19,518

10.70

6.11

40.24

914.16

2

이탈리아

2,260.3

1,722.7

6,357

3.53

5.47

13.11

269.01

3

핀란드

5,701.4

5,579.4

6,167.8

8.91

17.70

12.72

10.55

4

독일

38,009

7,852.2

4,976.5

59.39

24.92

10.26

36.62

5

미국

4,481.9

8,428.7

3,278.1

7.00

26.75

6.76

61.11

6

네덜란드

89.9

51

2,752.7

0.14

0.16

5.68

5294.97

7

스웨덴

4,578.6

2,107.4

1,897.5

7.15

6.69

3.91

9.96

8

일본

186.4

450.5

1,000.4

0.29

1.43

2.06

122.06

9

영국

174.4

259.6

717.1

0.27

0.82

1.48

176.23

10

한국

294.5

279.5

683.6

0.46

0.89

1.41

144.56

주: 수입관세율 5%, 부가가치세 18%


 아웃보드 모터 수입동향(HS Code 8407.21)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규모

비중

증감률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16/'15)

 

전체

137,221.4

51,122.9

51,928.8

100.00

100.00

100.00

1.58

1

일본

97,037.3

32,674.4

33,267.2

70.72

63.91

64.06

1.81

2

태국

12,524.1

9,865.5

7,703.7

9.13

19.30

14.84

21.91

3

미국

11,378.7

4,128.2

6,550.5

8.29

8.08

12.61

58.67

4

중국

13,578

4,326.2

4,322.5

9.89

8.46

8.32

0.09

5

리투아니아

43

34

48.1

0.03

0.07

0.09

41.57

6

한국

0

14

29.3

0.00

0.03

0.06

109.93

7

벨라루스

0

0

5.7

0.00

0.00

0.01

0.00

8

스페인

0

0

1.2

0.00

0.00

0.00

0.00

9

스웨덴

0

0

0

0.00

0.00

0.00

0.00

10

대만

64.7

0

0

0.05

0.00

0.00

0.00

주: 수입관세율 8%, 부가가치세 18%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러시아 내 북부에 6, 서부에 20, 동부에 13, 남부에 5개의 러시아의 조선 및 선박 수리 공장이 있음.

    - 러시아 내 민간 공장의 선두주자는 어업시설을 전문으로 하는 Vyborg 조선소임. 이외에는 칼리닌그라드의 Yantar 조선소, 상트페테르부르크의 Severnaya Verf 조선소, 니즈니노보고라드 지역의 Oka shipyard, Krasnoe Sormovo 조선소 등이 있음.


정책동향


  ㅇ 러시아 정부의 조선산업 발전 정책
    - 11억 달러 정도의 예산이 투입되는 러시아 주정부 장기 프로그램 '2013~2030 조선산업 개발'은 2012년에 승인됐으며, 자국 조선산업 발전을 위해 조선해양기자재를 적극 국산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  2017년 3월에 프로그램 이름이 ‘해양분야 개발을 위한 조선 및 장비 개발’로 변경됨.


  ㅇ 러시아 어선 관련 투자 쿼터 법률안

    - 20175월 관련 법률안이 승인된 후, 러시아 연방수산청(Russia’s Federal Agency for Fishery)은 노후화된 어선의 개선과 수산물 시장의 발전을 목적으로 러시아 내 새로운 어선 건조 기업 및 수산물 가공 공장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쿼터 프로그램을 시행함.

    - 이 프로그램으로 최소 100척의 어선을 건조하고 10개의 가공공장이 건설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러시아의 어선 생산능력은 40% 정도 증가하고 84억 달러이상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수산업의 국내총생산(GDP) 연간기여를 84억 달러 이상 높일 것으로 기대됨.

    - 러시아 내 가공공장 건설 및 새로운 어선 건조기업에 TAC20%를 분배할 예정임. 선정과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현금 또는 은행 보증 형태로 투자금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해야 함.

 

시사점


  ㅇ 러시아 내 다양한 전시회 등 마케팅 행사 참여 필요

    -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 러시아 및 CIS 최대 조선전시회(NEVA 2017) 등 주요 마케팅 수단을 활용해 러시아 시장에 진출할 필요성이 있음.

    - NEVA 2017의 경우에도 몇 개의 국내기업이 참가해 러시아 시장에서 자사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했으며, 러시아의 경기 회복을 반영하듯 지난 2015년 전시회 대비 규모가 확대됐음. 자세한 내용은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에서 작성한 NEVA 2017 참관기 참고 바람(클릭 시 이동).

    - 러시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각종 인증과 선급 획득이 필수적인 바, 사전에 내용을 확인해 숙지하는 것이 필요함.

  

 

자료원: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러시아 조선기자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