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2017 호주 농기계 산업현황
  • 트렌드
  • 호주
  • 시드니무역관 전희정
  • 2017-10-12
  • 출처 : KOTRA

- 트랙터 판매 최근 10년래 최고 증가율 기록 -
- 가뭄해갈로 농가소득 증가해 대형 트랙터 및 작업기 수요 지속 증가 -




□ 농기계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전체 농기계 시장규모는 트랙터 및 관련 제품 포함 호주화 26억 호주 달러(2016년 기준)로, 전년도에 비해 8% 이상 증가함. 농기계 시장을 파악할 때 가장 기준이 되는 트랙터 판매대수는 올해 8월까지 8178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비해 대수로는 800여 대, 증가율은 10.6%를 기록함.
    - 이와 더불어 콤바인 수확기 및 Front Mower도 전년 동기에 비해 각각 3.8%, 5% 증가를 기록함.
    - 트랙터에 부착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 수요도 더불어 증가됐을 것이며 트랙터 및 관련 제품의 수입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아래 표 참조).


최근 3년간 호주 트랙터 수입규모 및 성장률

                                                                                                                                                     (단위: 백만 호주 달러, %)

구분

2014

2015

2016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575

-

665

15.65

784

17.83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국내 농기계 제조 현황
    - 제조업이 쇠퇴하는 호주에서도 트랙터를 제외한 농기계의 국내 제조가 활성화돼있으나 그 규모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음. 전년도와 비교해서도 올해 약 3.6%의 매출 감소가 예상됨.
    - 트랙터의 경우 1980년대에 이미 국내생산이 중단됐으며 현재는 트랙터 작업기 및 관련 기계를 제조하는 업체가 870여 개사가 있음.

    - 2016년 국내 농기계 관련 제품 매출금액은 약 19억 호주 달러를 기록했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3.6% 감소를 기록함.
    - 제품별 매출액 비율을 보면 일반농기계 40%, 관련기계 및 부품 35.8%, 파종기 14% 및 수확기 10.3%로 농기계 비중이 높으나 작업기 및 부품의 매출 비중도 높은 편임(아래 표 참조).


external_image
자료원: IBIS World


  ◦ 트랙터
    - 농업용 기계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트랙터의 경우 호주 국내생산은 전무하며 모두 수입산이 차지하고 있음. 주요 수출국가는 미국, 독일, 일본 등으로 고기술과 높은 가격경쟁력을 가진 미국 등으로부터의 수입이 절대적으로 많은 편이나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external_image
자료원: 호주 통계청(ABS)


    - 2017년 1~7월의 트랙터 수입액을 보면 전체수입액 5억1800만 달러 중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1억7160만 달러로 33%의 점유율을 기록함. 주로 대형 트랙터를 수출하는 독일로부터의 수입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중소형 트랙터에 주력하는 한국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도 꾸준히 증가하나 일본산 수입 점유율이 7.3%로 2.16%에 그친 한국산과의 차이가 큼.
    - 호주 농기계협회(TMA)에서 집계한 올 1~8월의 트랙터 판매량을 마력(HP)별로 구분해 전년도와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음.


트랙터 마력

161~8

판매량

17 1~8

판매량

증가율(%)

주요 공급브랜드

0~40마력

1,623

1,884

16.1

John Deere, Kubota, Case(한국 LS OEM), Kioti(대동), TYM(동양), Branson(국제)

40~100마력

2,517

2,671

6.1

Kubota, John Deere, CNH, Kioti

100~200마력

2,105

2,377

12.9

John Deere, Caterpillar, CNH

200마력 이상

1,151

1,245

8.2

FENDT, John Deere, CNH, CAT

총계

7,396

8,178

10.6

자료원: 호주 농기계협회(Tractor Machinery Association of Australia)


    - 소형 트랙터에 강한 일본 및 한국산 트랙터의 판매가 증가하나 한국 업체들의 주력 제품인 40~100마력 이하의 제품에서는 판매 증가율이 가장 낮게 나타남.
    - 이 보고서를 위해 인터뷰한 트랙터 딜러에 의하면 전체 판매대수에서 40마력 이하의 제품 비율이 30%를 넘으나 업체별로 경쟁이 치열해 협회에 신고하지 않은 즉, 통계에 집계가 되지 않는 수량이 많을 것이라고 함.
    - 최근 호주의 주요 농업지역에 오랫동안 지속되던 가뭄이 해갈이 돼 대형농가가 주요 수요처인 100마력 이상의 트랙터 판매도 높은 증가율을 기록함.


  ◦ 트랙터 수요 특징
    - 판매 제품이 수요처에 따라 마력별로 명확히 구분됨. 40마력 이하의 트랙터는 근교 및 취미농가에서 수요가 크며 시장점유율은 약 30%임. 중형 트랙터인 40~100마력 제품의 경우 원예 및 과수농에서 주로 구매를 하며 비율은 약 4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대형인 100마력 이상의 경우 대형농가에서 주로 구매하며 판매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음.


  ◦ 트랙터 작업기 및 기타 농기계
    - 호주 국내에 작업기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산재해 있으나 그 수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수입제품으로 대체가 되고 있음.
    - 주 수출국은 중국, 이탈리아, 한국 등임. 부착기의 종류에 따라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제품은 유럽, 미국, 일본, 한국 등으로부터 수입하고 생산이 간단한 종류의 작업기는 중국 및 인도 등지에서 수입되고 있음.
    - 한국 업체들의 경우 프론트로더, 버켓 등 기본 작업기는 이미 호주에서도 주요 공급업체로 자리잡고 있으나 한국과 호주의 주요 작물의 종류가 다르고 농업 규모도 차이가 나서 한국에 적용되는 작업기를 바로 수출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음.
    - 일부 호주 국내 작업 생산업체들은 생산기지를 중국으로 옮기거나 반제품 형태로 수입해 기존 유통망에 공급을 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
    -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한 농사에 다양한 작업기가 사용되는데 그 종류는 수십여 가지에 이르고 있음. 인력 절감 및 작업 자동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신제품도 개발이 되고 있음.


트랙터에 부착해 사용하는 다양한 작업기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원: 업체별 웹사이트 및 무역관자료


  ◦ 농기계 수요 증가 예상근거
    - 농기계의 경우 농가의 수입에 따라 신규 및 교체수요가 감소 혹은 증가하는데 최근 많은 지역에 가뭄이 해갈돼 농업생산량 증가로 농가 수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 특히 인구가 밀집돼 있고 농기계 취급기업들이 주로 위치한 호주 동부 3개 주 지역에 안정적인 강수량을 기록하고 있음.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자료원: IBIS World


    - 하지만 서호주(WA) 및 남호주(SA)지역은 지속적인 가뭄으로 인해 농기계 수요가 감소함.
    - 트랙터의 경우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중국산 제품의 시장 경쟁력이 높지 않고 한국산 제품의 중소형 트랙터 수요가 오히려 증가하고 있음.
    - 작업기의 경우 국내 생산제품의 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수입제품이 갈수록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구매처
    - 주요 소비자는 영농기업, 소규모 농가 및 도시근교의 취미농가 등임.
    - 트랙터의 경우 취미농가 및 구청 등에는 40마력 이하, 원예 및 과수농에서는 40~100마력 제품을, 대형 농가의 경우 100마력 이상의 트랙터를 구매하고 있음.


  ◦ 소비자 구매 동기
    - 대형 트랙터 및 작업기의 경우 오랜 기간 시장을 과점해오고 있는 미국 및 독일계 트랙터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하고 단시일에 구매 패턴의 변화는 쉽게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소형 트랙터는 일본·한국·인도산 등의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소형 농가에서는 가격 및 A/S에 대한 경쟁력을 가진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선호함.
    - 트랙터에 부착해 사용하는 단순 작업기의 경우 중국, 브라질, 인도, 남아공 등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 수입 규제 제도


  ◦ 규제 내용
    - 상품자체 규제는 아니나 트랙터의 경우 AHCMOM202A 및 RIIMPO315A와 같은 조정 자격이 있는 사람만 운전이 가능함.


  ◦ 필수 인증
    - AS1636.1-1996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1,2,3 series), AS 4594.10-1999 농업용 내연기관에 관한 기술인증 등이 있어 수출시 반드시 확인 필요
    - AS/NZS 2153.1:1997, AS1121.1-2007 및 기타 AS/NZS 2153.4:1997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안전 및 기술인증이 있어 수출 이전에 반드시 확인이 필요함(제품별 형태별 필수인증 상이)


□ 관세율


  ◦ 관세율: 한국과 FTA 체결로 트랙터 및 작업기 모두 무관세


  ◦ 통관시 유의사항: 농기계 포장시 나무박스 및 팔렛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훈증 처리된 제품을 사용해야 하며 검역인증서(Fumigation certificate) 제출이 의무적임.

 

□ 주요 유통채널


  ◦ 제품배송 및 부품공급 체제를 잘 갖추고 있는 공급회사가 각 지역에 딜러를 지정해 영업


  ◦ 자동차와 유통시스템이 비슷하나 영업이 농촌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특징


  ◦ 수입상(현지 디스트리뷰터)--> 지역딜러 → 소비자(농가)가 가장 일반적인 유통경로이며 구청등 정부조달에는 현지 수입상이 직접 입찰에 참여하기도 함.


  ◦ 농기계 유통시장 변화 중
    - 전통적으로 각지역의 소형 딜러를 통해 유통되던 농기계 제품이 갈수록 대형딜러 체제로 변하고 있음. 
    - 대형 딜러 방식의 유통으로 인맥을 통한 고객관리가 아닌 품질 및 가격, A/S를 고려해 구매를 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에 유통방식이 대형화로 대응을 한 계기가 된 것으로 봄.


  ◦ 농기계 딜러감소
    - 2000년도에 호주 전역에는 약 2천여 개의 농기계 딜러가 있었으나 현재는 660여 개로 줄어듦. 이 중 365개 딜러는 98개 그룹에 의해 운영이 되고 있음. 한 개의 딜러가 한 브랜드만을 취급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대형 딜러가 여러 제품을 한꺼번에 취급하는 방식으로 변경이 되고 있음.
    - 이는 소형딜러운영으로 인한 비용 증가 및 수익성 감소로 갈수록 대형화 그룹화 해 비용절감을 이루기 위한 것임.


□ 주요 경쟁기업


  ◦ 트랙터

기업명

로고

설명

미국

John Deere

EMB00002048c1b6

- 1837년에 설립된 세계 최대의 농기계 공급업체로 트랙터 및 작업기 공히 세계 최대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트랙터를 발명한 회사로 알려져 있음.

- 호주에서도 중소형 및 대형 농기계 판매에서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음.

미국

CNH

EMB00002048c1b7

- 1842년에 설립된 미국의 농기계 및 건설기계 제조업체로 CASE, New Holland 브랜드로 각각 제품이 공급되고 있음.

- Case의 경우 소형 트랙터는 한국의 LS산전에서 OEM으로 공급을 받고 있음.

- FIAT 그룹에 속한 기업으로, IVECO 트럭도 호주전역에 공급하고 있음.

일본

Kubota

EMB00002048c1b8

- 일본에서 1890년에 설립된 회사로 트랙터, 굴착기, 발전기 등 농업 및 건설기계를 전문으로 공급하는 업체임.

- 호주진출은 40년이 됐으며 제품에 따라 매우 다양한 딜러망을 운영하고 있음.

- 호주의 중소형 트랙터 및 굴착기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회사임.


  ◦ 주요 작업기 업체

기업명

로고

설명

A F Gason

EMB00002048c1b9

. 주소: 29 Blake Street, Ararat, VIC 3377, Australia

. 전화: +61-3-5352-2151

. 이메일: admin@gason.com.au

. 웹사이트: www.gason.com.au

. 주요 취급품목: 파종기, 비료살포기, 수확기, Mower Slasher 등 작업기 전반

Howard Australia

EMB00002048c1ba

. 주소: 199 Australis Drive Derrimut, VIC 3030, Australia

. 전화: +61-3-8353-3600

. 이메일: sales@howard-australia.com.au

. 웹사이트: www.howard-australia.com.au

. 주요 취급품목: 프론트로더, 로타리 배토기, 로타베이터, Slasher, Mower

Silvan Australia

EMB00002048c1bb

. 주소: 244 Greens Road, Dandenong South, VIC 3164, Australia

. 전화: +61-3-9215-2701

. 이메일: info@silvanaust.com.au

. 웹사이트: www.silvanaust.com.au

. 주요 취급품목: 각종 분무기, 작업기, 각종 농기계 및 농업용품


□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


  ㅇ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은편
    - 한국산 중소형 트랙터 및 작업기에 대한 인지도 및 높은 가성비 및 좋은 사후관리로 판매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나 일부 트랙터는 가격 경쟁력 약화로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딜러 인터뷰 결과 나타남.
    - 특히 소형 트랙터에 상대적으로 덜 집중을 하던 John Deere, Kubota, New Holland 등 주요 업체들이 한국산 제품을 견제하기 위해 대폭적인 가격 인하 및 공격적인 판촉활동을 하고 있다고 인터뷰한 농기계 딜러는 언급함.


□ 한국 업체 진출방안


  ㅇ 농기계 및 작업기의 경우 각 지역의 딜러가 여러 브랜드를 동시에 취급하므로 영업력이 강한 현지 딜러를 적극 발굴


  ㅇ 농기계 수요처가 대부분 양질의 인력 수급이 어려운 농촌지역에 있어서 현지에서 애프터서비스를 할 능력이 있는 딜러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


  ㅇ 보고서 작성을 위해 인터뷰한 A사 대표의 경우 한국으로부터 비료살포기를 수입하기를 원하고 있으나 적정업체 발굴이 어려워 가격이 비싼 미국제품을 수입해 공급하고 있음.
    - 호주 농업 특성에 맞는 적극적인 작업기 개발이 요구됨.
    - 작업기의 제조 특성상 대량생산이 요구되지 않아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대응이 가능한 한국 중소형 농기계 제조업체들이 진출하기에 적당한 시장임.


  ㅇ 주요 지역별로 연중 개최되는 필드데이(농업관련 박람회)를 적극 활용한 현지딜러 발굴도 시장진출에 가장 유용한 방법의 하나임.


  ㅇ 제품 구입에 높은 비용이 수반되므로 구매자에 대한 적정한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중요한 요소임.



자료원: TMA(Tractor Machinery Association), Weekly Times, Agriview, IBIS World, WTA, 무역관 정보종합, 인터뷰: Mark Hurrell/Ag-Bits(sales@agbits.com.au)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2017 호주 농기계 산업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