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한미 서비스 교역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따른 시사점
  • 통상·규제
  • 미국
  • 워싱턴무역관 이정민
  • 2017-08-22
  • 출처 : KOTRA

- 미국은 세계 최고수준의 서비스 산업 경쟁력으로 최대 서비스 수출국 지위 견지 -

- 우리 정부와 업계,  서비스분야 경쟁력 제고 치밀한 전략 시급 -




□ 조사 배경

 

  ㅇ 미국 등 주요 선진국글로벌 상품교역 위축에 따른 수출 감소 타개책서비스 수출 확대에 주목하고 관련 산업 경쟁력 확보에 주력 중

    - 지난 5년 동안 전체 OECD 국가의 상품 수출은 감소(-2.1%)한 반면, 서비스 수출은 연평균 1.8% 증가해 2016년에 무려 3조4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함.

    - 미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서비스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OECD 전체 서비스 수출의 22%를 담당하며 최대 서비스 수출국의 위상을 견지하고 있음.

 

  과거 1990년대 미국 등 선진국은 국제 상품교역 자유화에 공조해 왔으나, 이제 서비스 교역장벽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전략적 무역협정 추진 중

    - 오바마 정부에서 추진됐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는 지재권 보호, 전자상거래, 데이터 이전 등 광범위한 서비스 분야 개방 조항이 망라됨. 트럼프 정부가 TPP 탈퇴를 공식화했음에도 TPP의 서비스 조항은 가장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향후 추진되는 FTA 개정 논의에서 서비스 조항 협상의 교범이 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 

    - 미국, EU 23개 국가(우리나라 포함) 2013년부터 글로벌 서비스교역 개방을 추진하기 위해 TiSA(Trade in Services Agreement) 협상을 진행해 옴.

 

미국의 서비스업 현황

 

  (경제 기여)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의 서비스업은 명실상부 전체 국가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역할을 하고 있음.

    - 2015년 기준 미국의 서비스업은 민간 총생산의 78%를 차지함과 동시에 900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통해 전체 민간 고용의 82%를 담당

    - 민간 생산과 고용에서 서비스업의 기여도는 지난 5년 동안(2010~2015) 평균 2.3%, 2.4% 확대돼 실질적으로 미국 경제 성장을 견인해 옴.

    · 미국은 서비스업종(통계) ①에너지, ②도매유통, ③소매유통, 운송·창고, 정보, ⑥금·보험·부동산(임대), 전문직 서비스, ·보건·복지, ⑨예·오락·여가·숙박·요식, 기타서비스(정부 서비스 제외)로 분류   

 

미국 서비스업의 GDP 및 고용 기여 현황 (2010~2015)

구분 

2010년

2014년

2015년

연평균성장률(%)

GDP(십억 달러)

 

 

 

 

민간부문

12,650

13,754

14,144

2.3

    - 제조업(비중, %)

2,780

3,010

3,089 (21.8)

2.1

    - 서비스업(비중, %)

9,870

10,745

11,056 (78.2)

2.3

고용(천 명)

 

 

 

 

민간부문

100,074

110,823

112,239

2.3

    - 제조업(비중, %)

18,398

20,075

20,395 (18.2)

2.1

    - 서비스업(비중, %)

81,676

90,748

91,844 (81.8)

2.4

자료원: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교역 현황) 세계 최대 서비스 교역국인 미국은 2016년 기준 수출 7326억 달, 수입 4820만 달러를 기록해 연간 2506억 달러 흑자 달성

    - (전체) 전체 수출의 1/3을 차지하는 서비스 수출은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5.8% 이상 증가, 상품 수출 증가율 3.4%를 앞질러 가파르게 성장 중

    - (지역) 대EU 수출 비중이 36.5%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아태 지역(28.6%), 중남미(21.2%) 순임. 단일 국가로는 영국(8.9%), 캐나다(7.5%), 중국(6.5%), (5.9%) 등이 상위권 형성(대한국 서비스 수출은 2.7%)

 

미국 상품·서비스 수출입동향(2006~2016)

미국 지역별 서비스 수출입 비중(2015)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원: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 (부문) 전체 서비스 수출에서 여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27%로 가장 높고, 지식재산권(16%), 금융서비스(14%), 기타 서비스(18%) 등도 높은 비중을 차지함. 특히, 기타 서비스에는 부가가치와 산업 파급력이 높은 연구개발 서비스, ·영 컨설팅, 기술·무역 서비스, ·엔지니어링 서비스 등이 포함됨.

 

미국 서비스 수출 분야별 비중(2015)

미국 서비스 분야별 수출 성장률(2010~2015)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원: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한-미 양국의 서비스교역 현황

 

   (교역량) 우리나라의 전체 대미 서비스 수출은 2015 101억 달러에 그친 반면, 수입은 205억 달러로 서비스 무역적자는 104억 달러에 달함.

    - 지난 9년 동안 대미 서비스 수입은 연평균 7.1% 증가했으나 우리 수출은 2.3% 증가에 불과해 무역적자 규모는 15.6% 이상 확대됨.

 

  (부문별) 우리나라 대미 서비스 수출에서 교통·운송(58%), 여행(12%), 정부 서(23%)의 비중이 전체의 93%를 차지하는 반면, 산업 파급력과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재산권, 금융, 기타서비스 등의 수출은 저조한 편임.

    - 반면, 미국의 대한 서비스 수출은 여행 외에도 국제 경쟁력을 앞세워 지식재산권(29%), 기타 서비스(9%), 금융·보험(6%) 등의 비중이 높은 특징

 

대미 서비스교역 추이(2006~2015)

대미 서비스 교역 부문별 비중(2015)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원: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ICT) 미국 상무부는 서비스 교역을 ICT 기반, 비 ICT 기반으로 구분 집계함으로써 부가가치가 높은 ICT 기반 서비스 수출의 중요성을 강조함. 

    - 미국의 대한국 서비스 수출 중 ICT 기반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45%(92억 달러) 달하는 반면, 우리의 경우는 11%(13억 달러)에 불과함.

    - 직접 ICT 서비스 교역에 해당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통신 등 부문에서 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연간 920만 달러로 전체 서비스 수출의 0.8% 준에 그침. 반면 미국의 대한국 수출은 20억 달러로 우리 수출의 20배 수준 

    · 미국 상무부는 ICT 기반 서비스 산업(Potentially ICT-Enabled Service)을 금융·보험, 지식재산권, R&D 서비스, 건축·공학 서비스 등으로 규정함

 

한-미 양국의 ICT 기반 서비스 수출 현황(2015)

                                                                                                                                (단위: 백만 달러, %)

미국의 대한 수출

한국의 대미 수출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ITC기반 서비스

11,354

55.4

9,877

88.8

ITC 기반 서비스

9,158

44.6

1,250

11.2

    - ITC 서비스

1,986

9.7

92

0.8

    - 기타 ITC 기반 서비스

7,172

35.0

1,158

10.4

자료원: 미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한-미 서비스 수출 경쟁력 분석

 

  (비중) 2016년 기준 우리나라의 서비스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4%에 불과해 미국(34%)은 물론 OECD 평균(27%)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

    - 지난 10년 동안 OECD와 미국의 서비스 수출 연평균 성장률은 상품 수출 성장률을 두 배 가까이 앞질렀으나, 우리의 경우 상품 수출 성장률과 근사한 4.9% 성장에 그침. 

    · 미국 상품 수출 성장률 3.41%, 서비스 수출 성장률 6.09%

 

서비스 수출 비중 추이(2006~2016)

 상품/서비스 수출 연평균 성장률(2006~2016)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원: UNCTAD

 

  (부문) 우리나라 전체 서비스 수출에서 운송(28.5%), 건설(11.8%), 기타 비즈니스(22.2%) 업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임.

    - 반면 서비스 수출 성장 동력으로 꼽는 ICT 기반 서비스 업종(금융, 통신·컴퓨터·정보, 지식재산권 등)의 수출 비중은 OECD 또는 미국에 비해 열위

    - 우리나라의 ICT 기반 서비스 수출 비중은 2016년 기준 37.0%에 불과. 미국(54.8%) OECD 평균(56.2%)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짐.

 

분야별 서비스 수출 비중(2016)

 ICT기반 서비스 수출 비중(2016년)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원: UNCTAD

 

  ㅇ (경쟁력) 우리나라의 업종별 서비스 경쟁력을 OECD 전체와 비교했을 때,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상대적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현시비교우위지수(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조사 대상 11개 업종 중 건설과 운송에서는 경쟁 우위를 보이나, 그 외 모든 업종에서 OECD 대비 비교 열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지난 10년 평균).


* 현시비교우위지수(RCA) 지수 = (한국 I업종의 수출액/한국 서비스 수출액) / (OECD i산업의 수출액/OECD 전체 서비스 수출액)

※ RCA 지수가 1 보다 높으면 수출 비교 우위, 1 보다 낮으면 수출 비교 열위

 

    - 지난 10년 간 우리나라의 개인·문화·여가, 통신·컴퓨터·정보, 여행, 지식재산권, 보험 등 서비스 부문의 수출 경쟁력은 개선됨.

    - 반면, 정부 서비스(-0.5%), 가공(-4.0%), 운송(-2.1%), 금융(-1.8%) 등 업종에서 수출 경쟁력은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우리나라의 RCA 지수 변화 추이(2006~2016)

구분 

2006년

2011년

2016년

평균

개선율

가공

1.44

0.92

0.95

0.99

-4.0%

운송

2.21

2.10

1.79

2.11

-2.1%

여행

0.44

0.65

0.86

0.62

6.8%

건설

6.92

8.83

7.52

8.11

0.8%

보험

0.15

0.19

0.23

0.19

4.5%

금융

0.22

0.19

0.19

0.19

-1.8%

지식재산권

0.48

0.57

0.81

0.53

5.5%

통신·컴퓨터·정보

0.15

0.16

0.38

0.21

9.4%

기타 비즈니스

0.89

0.71

0.95

0.79

0.7%

개인·문화·여가

0.42

0.60

1.32

0.69

12.3%

정부

1.30

0.81

0.78

0.87

-5.0%

자료원: UNCTAD 자료를 근거로 KOTRA 워싱톤 무역관 산정

 

    - 경쟁국의 RCA 분석 결과, 미국은 4, 일본은 5, 중국도 5개 업종에서 전체 OECD 국가 대비 서비스 수출 경쟁력을 유지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특히 지난 10년 동안 중국의 가공, 운송 서비스 경쟁력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 금융, 보험, 지식재산권, 통신·컴퓨터·정보 등의 경쟁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선진국형 경쟁력 구조로 전환 중인 것으로 분석됨.

    · RCA 지수 개선율은 지난 10년 동안 RCA 지수의 연평균 성장률(CARG)으로 산정함.

 

·· RCA 지수 변화 비교(2006~2016)

구분

미국

일본

중국

평균

개선율

평균

개선율

평균

개선율

가공

0.88

4.1%

0.20

4.8%

4.61

-4.7%

운송

0.67

0.5%

1.49

-3.7%

1.04

-0.6%

여행

1.17

1.3%

0.49

9.1%

1.22

-4.7%

건설

0.24

-3.6%

4.09

-3.0%

3.29

8.9%

보험

0.80

1.5%

0.27

-2.7%

0.48

14.0%

금융

1.23

1.5%

0.42

2.1%

0.08

26.2%

지식재산권

2.27

-3.3%

2.52

0.7%

0.05

8.6%

통신·컴퓨터·정보

0.51

-0.3%

0.17

3.2%

0.81

9.6%

기타비즈니스

0.79

-0.2%

1.06

-0.8%

1.08

2.9%

개인·문화·여가

0.47

-1.6%

0.21

14.3%

0.18

9.8%

정부

2.12

-2.0%

1.37

7.8%

0.33

3.0%

자료원: UNCTAD 자료를 근거로 KOTRA 워싱톤 무역관 산정

 

시사점

 

  미국의 통상 압력이 거세지는 가운데 잠재 수출 동력인 서비스분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우리 정부와 업계의 치밀한 전략 마련이 시급

    - 상품 수출은 국경 간 장벽(관세, 쿼터 등) 완화가 중요하나 서비스의 경우 국경 넘어(beyond Border) 존재하는 규제 등 비관세 장벽 해소가 관건

    - 따라서 FTA 재논의 과정에서 미국은 경쟁우위에 있는 서비스 수출확대를 위해 기존 조항 이행 강화 및 추가 규제 완화를 압박해 올 수 있다는 분석

 

  ㅇ 무역협정 논의에서 서비스 분야의 중요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미국 측이 공세를 취해 올 수 있는 분야와 우리가 요구할 수 있는 분야를 분석함으로써 협상에 사전 대비할 필요가 있음.

    - 지난 7월 공개된 미국의 NAFTA 재협상 목표에서는 금융, 통신, 디지털교역, , 지식재산권, 영기업 등 서비스 분야가 비중 있게 다루어짐.

    - 또한 USTR 산하 무역정책협상 자문위원회(ACTPN)가 제출한 한-미 FTA 선안에서는 미국이 상대적 경쟁우위에 있는 서비스 조항 개선에 주목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는바 대응책 마련 시급

 

  미국의 탈퇴에도 불구 TPP의 서비스 조항은 역대 가장 포괄적이자 개방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향후 무역협정 논의에서 벤치마크로 이용될 전망

    - TPP TiSA의 서비스 조항과 NAFTA 재협상 과정에서 서비스 분야 논의를 분석함으로써 미국의 서비스 교역 협상 전략을 유추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BEA. UNCTAD, OECD, USTR 및 KOTRA 워싱톤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미 서비스 교역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따른 시사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