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EAEU-베트남 FTA 체결 후 교역변화
  • 통상·규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7-08-22
  • 출처 : KOTRA

- FTA 체결 후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베트남 교역만 증가세 -

- EAEU 국가의 전반적인 경기회복으로 FTA 기대효과는 소폭 상승 -

- EAEU 회원국들 모두 제조업 산업육성이 기본 정책으로 추진 중으로, 교역보다 투자협력이 중요 -

 

 


EAEU-베트남 FTA 체결 후 교역변화

 

  ㅇ 베트남은 EAEU FTA를 체결한 첫번째 국가로, 2013 3월부터 협상이 시작됐고 2015529일 체결 후 2016 105일부터 발효

    - 체결 당시 관세 인하 합의 내용으로, EAEU 측은 거래품목의 88%를 관세인하하는 목표로 59%는 발효 즉시 인하하고, 29% 5~10년 내 점진적으로 인하하겠으며, 베트남 측은 총 89%의 거래품목 관세를 인하하고 발효 즉시 59% 품목 관세를 인하하고 나머지 30% EAEU 측과 유사한 기간 동안 인하하겠다는 것임.

    - FTA 체결 당시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는 약 40억 달러인 교역규모가 2020년까지 100억 달러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EAEU(유라시경제연합체) 개요


- 가입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5개국)  

- 경제규모: 세계 무역규모의 3.7% 차지, 인구 1800만 명(세계인구 2.5%), 석유(세계 1위, 14.6%), 가스(세계 2위, 18.4%), 전력(세계 4위, 5.1%)   

- EAEU FTA 체결 희망국(12개국): 이집트, 이스라엘,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이란, 캄보디아, 베네수엘라, 니콰라이, 페루, 칠레, 한국

 

 FTA 체결 전인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러-베 교역량은 약 38억 달러 수준을 유지 

    - 2015년 기준 대러시아 베트남 수출은 21억 달러, 대베트남 러시아 수출은 18억 달러였음. 

    - 대러시아 베트남 주요 수출품목은 전자기기(38% 이상)이며, 섬유·의류·신발 등(21%), 식료품(어류·과일·견과류·커피, 곡물 등 13%) 등임. 

    - 대베트남 러시아 주요 수출품목은 선박 및 보트(구조물 포함, 25%), 전자기기( 10%), 철금속( 6%), 석유 및 석유제품(6%) 등임.

 

  ㅇ EAEU-베트남 FTA 발효 후 러시아-베트남과 카자흐스탄-베트남 교역은 증가세

    - 2017년 1분기 양국 교역량은 전년동기 대비 23.9% 증가한 9억8540만 달러로, 대러시아 베트남 수출은 약 6억7000만 달러, 대베트남 러시아 수출은 약 30억 달러 수준임. 대베트남 러시아 주요 수출품목은 철광 및 철금속, 석유가스, 비료 등이나 FTA 체결 후 곡물 수출이 크게 증가(약 1억1600만 달러)했다는 게 특이사항임.

    - 대러시아 베트남 수출은 27.6% 증가했고, 대베트남 러시아 수출은 1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17년 1~5월 교역규모는 총금액만 발표됐으며, 세부사항(품목별) 수치는 부재

 

러시아-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1분기

증감률

2017/2016

2017년

1~5

증감률

2017/2016

러시아-베트남 교역규모

3,747.1

3,895.6

3,837.9

-1.5

985.4

23.9

1645.7

20.1

대베트남 러시아 수출

1,451.8

1,842.2

1,372.3

-25.5

309.7

16.6

460.4

-2.8

대러시아 베트남 수출

2,295.3

2,053.4

2,465.6

20.1

675.7

27.6

1185.3

32.2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R.F. Federal Customs Service


베트남의 대러시아 주요 수출품목

                                                                                                                                        (단위백만 달러, %) 

순위

품목

2015

2016

2017 1분기

수출액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총계

2,053.4

2,465.6

20.1

675.7

27.6

1

전자기기

922.6

1,151.1

24.8

51.19

59.52

2

신발

213.2

268.1

25.8

11.79

20.39

3

기타 기기

197.0

197.2

0.1

7.67

29.96

4

양념, 차, 커피 등

147.3

183.1

24.4

6.63

4.35

5

울(의류)

149.7

145.4

-2.9

5.03

12.99

6

니트류

54.1

76.9

42.2

3.84

57.4

7

수산물

76.8

89.2

16.0

3.2

15.16

8

저장식품(캔 등)

25.5

22.1

-13.3

1.17

104.25

9

피혁 및 가방류

30.3

31.7

4.7

0.97

-15.35

10

장난감, 스포츠용품

14.4

18.6

29.3

0.85

112.33

자료원: 러시아 관세청


러시아의 대베트남 주요 수출품목

                                                                                                                                             (단위백만 달러, %)

순번

품목명

2015

2016

2017 1분기

수출액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총계

1,842.2

1,372.3

-25.5

309.7

16.6

1

곡물

0.1

19.5

30,890.2

50.9

0

2

철금속

9.1

137.0

1,408.7

46.4

-36.54

3

원유

193.2

223.5

15.7

18.4

-23.65

4

비료

100.1

83.4

-16.7

15.6

-29.24

5

전자기기

155.4

67.3

-56.7

13.3

86.2

6

기타 기기

21.2

60.4

185.5

10.7

17.92

7

육류

3.6

15.7

333.9

4.6

504.63

8

종이 및 보드

10.8

12.0

11.0

4.1

62.96

9

희금속

19.1

12.5

-34.3

3.2

-2.8

10

유황, 나트륨 등

19.5

14.3

-26.8

116.4

11

자료원: 러시아 관세청

 

    - 카자흐스탄-베트남 교역은 2016년 기준 전년대비 78%가 증가한 3억661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FTA 체결 후 시점인 2017년 상반기 기준해 전년대비 92.7% 증가한 2억7100달러를 기록해 EAEU 국가 중 가장 큰 FTA 효과를 누린 것으로 나타남. 특히 2016년부터 대베트남 카자흐스탄 석유가스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

    - 벨라루스의 경우 2016년 교역액은 오히려 감소했으나 2017년 1~5월 동안 73%가 증가함.

    - 아르메니아-베트남 교역액은 연간 1200만 달러 이상으로 2016년 기준해 교역액이 오히려 감소했음. 2017년 1~5월 기준 교역액도 약 -10%를 기록, 교역 대부분이 대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수출 규모임.

    - 키르기스스탄-베트남 교역액은 연간 300만~5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하고 2017년 1~5월 기준 12% 감소했음. 대베트남 키르기스스탄 수출은 크게 증가했으나 규모는 30만 달러에 불과함.

 

카자흐스탄-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상반기

증감률

2017/2016

카자흐스탄-베트남 교역규모

272.9

205.8

366.1

77.9

271.3

92.7

대베트남 카자흐스탄 수출

1.7

10.4

167.3

1 507.5

146.3

174.5

대 카자흐스탄 베트남 수출

271.2

195.4

198.8

1.7

125.0

43.0

 자료원: WTA


벨라루스-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1~5

증감률

2017/2016

벨라루스-베트남 교역규모

N/A

150.0

121.0

-19.2

47.6

73.0

대베트남 벨라루스 수출

N/A

111.4

76.8

-31.1

27.9

107.5

대벨라루스 베트남 수출

N/A

38.3

44.2

15.3

19.7

40.0

  자료원: WTA


아르메니아-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1~5

증감률

2017/2016

아르메니아-베트남 교역규모

N/A

14.6

12.5

-14.0

4.7

-9.9

대베트남 아르메니아 수출

N/A

0.1

0.02

-82.9

0.01

-

대아르메니아 베트남 수출

N/A

14.4

12.5

-13.4

4.7

-10.1

  자료원: WTA


키르기스스탄-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1~5

증감률

2017/2016

키르기스스탄-베트남 교역규모

N/A

5.2

3.3

-37.2

1.2

-12.7

대베트남 키르기스스탄 수출

N/A

1.6

0.2

-85.8

0.3

119.0

대키르기스스탄 베트남 수출

N/A

3.6

3.1

-16.1

0.9

-27.3

  자료원: WTA


EAEU-한국 FTA 체결 추진현황

 

  ㅇ 2015년 11월부터 착수된 KIEP(한국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RFTA(러시아 대외무역아카데미) FTA 타당성 조사 결과가 2016년 9월에 한-러 포럼(모스크바)에서 발표된 바 있음.

    - 양국 조사기관이 발표한 타당성조사 공동 결과를 요약해보면, EAEU 국가의 자국 제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양측 교역 품목 다각화가 기대되고 지방 개발을 위한 각 정부의 투자협업 중요성이 강조됐다는 점

    - EAEU 경제 주축인 러시아의 경기침체 장기화로 최첨단 및 고가제품을 제외하고 중저가 상품 수요가 크게 증가 중이기 때문에 FTA 체결 시 한국 소비재 수출은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게 한국 측의 긍정적 전망

    - 한편 대EAEU의 한국 주요 수출품목은 자동차, 기계, 전자제품 등 공산품 위주라서 FTA 체결 경제적 효과는 양호한 편임. 그러나 러시아 측 입장에서는 원유, 가스 등 편향적 수출구조이다 보니 FTA 체결 효과는 한국 측보다 적을 것이라는 게 포럼 참석자들의 일반적 견해였음.

    - 양측의 EAEU 협력 유망분야는 발표됐으나 포럼 이후 구체적으로 진척된 바는 없음.

 

EAEU-한국 교역동향

 

  ㅇ 한-러 교역규모는 2014년부터 감소해 2016년 기준 133억 달러이며 2017년부터 크게 증가세

    - 대러시아 한국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및 부품, 중장비, 선박 등이며. 대한국 러시아 주요 수출품목은 유연탄, 원유, 가스 등임.

    - 2015년 국제유가 하락, 우크라이나 사태 및 대러시아 제재 등 여러 악조건에 따라 한-러 교역은 크게 하락했음. 그러나 2016년 대러시아 한국 수출은 서서히 회복하면서 2017년 1~5월 기준 48% 교역 증가

    - 대러시아 한국 기계류 수출은 2015년 교역이 크게 위축했음에도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자동차 및 부품, 선박 등은 2017년 들어서 전년 동기대비 크게 증가세 시현

    - 대한국 러시아 수출은 자원 품목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수산물이 7%로 차순위를 지키고 있음. 2016년까지 지속 감소세였으나 2017년 1~5월 기준 47.8% 증가했고, 원유의 경우는 100% 증가세를 시현

 

러시아-한국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1분기

증감률

2017/2016

2017년

1~5

증감률

2017/2016

러시아-한국 교역

27,308

18,041.7

15,118.9

-16.2

4,367.5

28.7

7,802.2

48.1

대한국 러시아 수출

18,277.6

13,481.7

10,006.4

-25.78

3,065.8

21.4

5,292.1

40.9

대러시아 한국 수출

9,030.4

4,560.0

5,112.5

12.1

1,301.7

50.2

2,510.1

66.0

  자료원: WTA


 대러시아 한국 주요 수출품목

                                                                                                                                                            (단위백만 달러, %) 

순위

품목

2016

20171~5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총계

5,112.5

12.1

2,510.1

66.0

1

승용차

925

1.5

569

86.3

2

자동차부품

728

-13.2

454

80.7

3

선박

6

83.5

296

4,834

4

합성수지

213

-12.0

98

27

5

건설중장비

109

82.5

96

235.9

6

타이어

99

28.5

62

114.3

7

공기조절기

36

-2.8

54

293.1

8

기타 플라스틱제품

106

-0.7

48

16

9

아연도강판

90

-10.2

44

58.3

10

의자

73

22.6

41

74.8

자료원: 한국무역협회(MIT 기준)


대한국 러시아 주요 수출품목

                                                                                                                                                             (단위백만 달러, %)

순번

품목명

2016

2017 1~5

수출금액

증감률

수출금액

증감률

 

총계

10,006.4

-25.78

5,292.1

40.9

1

유연탄

1,433

0.9

999

93.9

2

원유

1,951

-44.2

997

100.6

3

나프타

1,827

-12.8

907

23.6

4

천연가스

582

-54.6

328

15

5

무연탄

284

19.6

168

94.6

6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284

-27.4

153

10.5

7

204

-0.1

106

30.9

8

고철

228

3.5

104

58.4

9

명태

208

-2.2

92

32.1

10

백금

49

-0.4

78

242.4

자료원: 러시아 관세청


  ㅇ 러시아를 제외한 한-EAEU 국가별 교역규모는 2017년 1~5월 기준 전반적으로 증가세로 전환

    - 카자흐스탄의 경우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2016년까지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으나,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회복세로 1~5월 기준 약 50% 상승세를 보였음. 특히 대한국 카자흐스탄 수출이 크게 증가(72%)함.

    - 벨라루스-한국 교역규모는 연간 1억5000만 달러 수준으로 2017년 1~5월 기준 42.5% 증가했으며, 대벨라루스 한국 수출이 빠르게 회복하고 있음.

    - 아르메니아-한국 교역규모는 연간 3000만 달러 수준으로 한국의 아르메니아 수입은 거의 전무하고, 2017년 1~5월 기준 교역규모가 29.5% 증가

    - 키르기스스탄-한국 교역규모는 연간 5000만 달러 수준이나 2016년 51.7% 정도 하락했고 2017년부터 빠르게 회복 중

 

카자흐스탄-한국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1~5

증감률

2017/2016

카자흐스탄-한국 교역규모

1,949.1

1,376.8

676.6

-50.9

480.7

49.8

대한국 카자흐스탄 수출

872.6

769.9

223.5

-71.0

244.4

72.3

대 카자흐스탄 한국 수출

1,076.5

606.9

453.1

-25.3

236.3

32.1

  자료원: WTA


벨라루스-한국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1~5

증감률

2017/2016

벨라루스-한국 교역규모

N/A

155.1

119.6

-22.9

63.3

42.5

대한국 벨라루스 수출

N/A

41.9

34.2

-18.3

18.9

13.3

대벨라루스 한국 수출

N/A

113.2

85.4

-24.6

44.4

60.2

  자료원: WTA


아르메니아-한국 교역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1~5

증감률

2017/2016

아르메니아-한국 교역규모

N/A

32.4

17.7

-45.6

9.2

29.5

대한국 아르메니아 수출

N/A

0.5

1.0

94.6

1.7

125.3

대아르메니아 한국 수출

N/A

31.9

16.7

-47.9

7.5

18.5

  자료원: WTA


키르기스스탄-한국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증감률

2015/2016

2017년

1~5

증감률

2017/2016

키르기스스탄-한국 교역규모

N/A

54.7

26.5

-51.7

20.8

134.7

대한국 키르기스스탄 수출

N/A

0.8

0.5

-38.8

0.2

-1.8

대키르기스스탄 한국 수출

N/A

53.9

26.0

-51.9

20.6

137.4

 자료원: WTA


□ 결론

 

  ㅇ 러시아는 서방 경제제재에 의해 식료품, 일반 소비재 등 시장 공급에 차질을 빚자 서방 수입국들을 대체할 만한 적합한 수입 파트너가 절실한 상황이었음. 이런 조건에 만족할 만한 국가는 제조업 신흥국가인 베트남이었기에 FTA 추진이 신속히 체결된 것으로 보임.

    - 식료품, 일반 소비 내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자 하는 러시아와 EAEU 회원국에는 고품질·첨단기술제품 수출을 주력하는 한국이 적절한 파트너로 보여지기는 힘듦.

    - 한편, 중국은 EAEU 회원국들과는 절대적인 무역 흑자국이기 때문에 FTA 체결 시 시장잠식 우려가 있는 국가로 FTA 체결 대상으로는 한국보다 열위에 있는 것으로 파악

 

  ㅇ 러시아 입장에서는 최근 미국과 EU의 대러시아 경제제재 연장 등 시급히 해결돼야 할 과제가 있는 데다 EAEU는 정치적인 연합체계이기도 하나 이에 앞서 회원국들 간의 수출시장 확보라는 경제적 연합 성격이 강해 EAEU-한국 FTA 체결 사안에서는 미온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

    - EAEU와의 경제협력이 무역협정에서 국한되지 않고 기술협력 및 투자진출까지 포괄하는 협정으로 방향 전환도 고려해 볼만함.

 


자료원: EEU포털(www.eurasiancommission.org), 러시아 관세청, WTA,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EAEU-베트남 FTA 체결 후 교역변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