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우즈베키스탄 음료 시장동향
  • 트렌드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무역관 채병수
  • 2017-07-25
  • 출처 : KOTRA

- 인구 증가, 기후 조건 등으로 소프트 드링크 시장 성장 가능성 높아 -

- 높은 수입 관세와 현지 기업들의 높은 시장 점유율 존재, 신제품을 통한 틈새시장 공략 필요 -

 

 

 

□ 시장 개요

 

  ㅇ 2016년 우즈베키스탄 음료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2% 증가한 2조5622억 우즈베키스탄 솜(약 6억3831만 달러)을 기록함.

    - 우즈베키스탄 음료 시장은 최근 5년간 평균 18%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Off-trade(가정용) 시장이 전체 시장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우즈베키스탄 음료 산업 시장 규모

                                                                                                              (단위: 만 달러)

external_image

주: On-trade는 레스토랑, 바, 호텔과 같은 소비시장(업소용)을 의미.

Off-trade는 슈퍼마켓, 면세점과 같은 판매시장(가정용)을 의미함

 자료원: Euromonitor사 Passport GMID

 

  ㅇ 우즈베키스탄은 전통적인 차 소비국 중 하나로 녹차와 홍차에 대한 선호도가 아직까지 높으나 해외 문화 유입 및 가처분 소득 등에 따라 차 대용품으로 과일 및 야채 음료, 탄산음료, 에너지음료와 같은 제품의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음.

 

  ㅇ 특히 우즈베키스탄은 대륙성 기후를 띠고 있고 여름에는 45℃ 이상의 고온건조한 날씨를 보이므로, 드링크 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음.

 

□ 소프트 드링크 시장 동향

   

소프트 드링크(soft drink)의 범위


 알코올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가벼운 음료이며, 광의로는 사이다를 비롯한 콜라, 맥주 등과 같은 탄산 음료와 젖산음료 등을 포함


 

  ㅇ 소비재 산업 및 소비 트렌드 조사기관 Passport GMID의 보고서에 따르면, 탄산음료의 판매액이 가장 높음. 이어 과일 및 야채음료, 생수, 이온음료 및 에너지음료 순임.

    ① 탄산음료(Carbonates): 소프트 드링크 시장 내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2016년엔 전년 대비 9% 이상의 성장률을 시현함.

     과일 및 야채음료(Juice): 2016년 전년 대비 24% 이상 성장하면서 소프트 드링크 시장 내에서 가장 큰 성장세를 보임.

     (생수): 우즈베키스탄 가정에서는 요리를 하거나 차를 끓일 때 수돗물을 이용하고 있으나 우즈베크 특성상 물에 석회질이 많이 포함돼 있어 일정 소득 수준 이상의 건강에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은 도시 소비자를 중심으로, 생수(Bottled water) 시장이 연간 1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 중

     이온음료 및 에너지음료(Sports and Energy Drinks): 2016년 이온음료 및 에너지음료 판매액은 1783만 달러로 전년도 1666만 달러 대비 7% 성장했으며, 다른 음료산업에 비해 성장률이 저조한 편

 

제품 유형별 판매 현황

                                                                                                                    (단위: 십억 우즈베키스탄 솜, 만 달러)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생수

(Bottled water)

124.8

(3,109)

149.8

(3,731)

182.5

(4,546)

209.8

(5,226)

237.3

(5,911)

탄산음료

(Carbonates)

355.9

(8,866)

401.5

(10,002)

460.6

(11,474)

504.3

(12,563)

552.5

(13,764)

과일 및 야채음료

(Juice)

146.1

(3,639)

162.6

(4,050)

188.1

(4,686)

236.4

(5,889)

293.8

(7,319)

이온음료 및 에너지음료

(Sports and Energy Drinks)

44.1

(1,098)

54.6

(1,360)

63.1

(1,571)

66.9

(1,666)

71.6

(1,783)

합계

670.9

(16,712)

768.5

(19,143)

894.3

(22,277)

1,017.4

(25,344)

1,155.2

(28,777)

자료원: Euromonitor사 Passport GMID(환율: US$ 1 = UZS 4,014)

 

우즈베키스탄 생수 및 탄산수 판매 규모

                                                                                                                     (단위: 만 달러)

external_image

자료원: Euromonitor사 Passport GMID

 

대형마트(Makro) 음료 판매 모습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타슈켄트무역관


□ 수입 동향

 

  ㅇ (물) 2016년 수입 규모는 100만 달러이며, 조지아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입량의 94%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전체 생수 시장 대비 수입 생수 시장은 매우 작으며 현지 생수 대신 해외의 유명 브랜드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가 낮은 것으로 파악됨

 

물(HS Code 2201)의 우즈베키스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명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

합 계

362

793

1,033

1,248

1,002

1

조지아

344

753

965

1,118

950

2

러시아

16

23

38

117

38

3

키르기스스탄

-

-

-

-

5

4

독일

-

3

7

1

4

5

덴마크

-

1

2

2

3

자료원: ITC Trade Map

 

  ㅇ (설탕, 감미료 첨가 음료) 2016년 761만 달러의 수입량을 기록했으며 이는 4년 전에 비해 5배 이상 증가한 수치임.

    - 1위 수입국인 러시아로부터 83% 이상 수입하고 있으며, 러시아로부터의 수입량은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임

 

설탕이나 감미료 또는 향미를 첨가한 물(HS Code 2202)의 우즈베키스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명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

합 계

1,233

2,918

4,756

5,340

7,612

1

러시아

320

333

1,256

2,423

6,341

2

터키

2

20

214

1,355

686

3

리투아니아

-

-

147

300

492

4

폴란드

-

69

254

392

28

5

독일

52

111

382

1

22

자료원: ITC Trade Map

 

  ㅇ (과일 및 야채음료) 우즈베키스탄 수입량은 186만 달러로 다른 음료산업에 비해 적은 수치임.

    - 주요 대상 수입국은 이스라엘, 러시아, 네덜란드, 스페인, 독일 순이며, 소비량에 비해 그 규모가 상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우즈베키스탄의 긴 일조시간과 고온건조, 4계절이 뚜렷한 기후의 영향으로 원재료인 과일과 채소를 낮은 가격에 조달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이 익숙한 맛과 가격 등의 요인으로 현지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기 때문임.

 

과일 및 야채음료(HS Code 2009)의 우즈베키스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명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

합계

1,461

1,442

1,885

963

1,866

1

이스라엘

848

442

903

421

1,425

2

러시아

98

149

77

180

321

3

네덜란드

362

608

370

35

69

4

스페인

3

-

-

-

37

5

독일

137

36

242

160

10

자료원: ITC Trade Map

 

□ 한국 음료 수입 동향

 

  ㅇ 소매 유통의 중심인 대형마트나 현지 바자르(전통 시장) 조사 및 수입 바이어 인터뷰 결과, 주로 알로에 음료와 커피 조제 음료 일부만 한국 제품이 유통되고 있음.

    - 바이어들은 한국에서 직접 제조사로부터 물건을 구매하기도 하나, 우즈베크 경제 특성상 평균 공식 주문량이 타 국가 바이어에 비해 작은 수준이기 때문에 한국 수출기업의 방침에 따라 러시아 등 인근국의 딜러로부터 구매하는 경우도 있음 .


  ㅇ 모두 정상적인 통관을 통해 수입이 되고 있으나 높은 수입세금의 영향으로 소비자 가격도 현지 음료들보다 2배 이상 비쌀 뿐만 아니라, 최근 환율 상승 때문에 소비자들의 구매가 크게 감소해 재고물량 소진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바이어도 있었음.

    - 밀크, 크림 등이 포함된 커피 조제품(HS Code 210112 9)의 경우 관세 10%(최소 0.3달러/kg), 소비세 50%, 부가세 20% 부과

    - 설탕이나 감미료 또는 향미를 첨가한 물(HS Code 2202)의 경우 2017년 1월 1일부터 전보다 인상된 관세 30%(최소 US$ 0.6/l), 부가가치세 20%, 소비세 100%(최소 US$ 1.8/L)가 부과되고 있음. 

 

  ㅇ 이외에 한국 상점 등에서 다품종 소량으로 한국의 탄산음료, 과일음료, 비타민 음료 등이 판매되고 있음.

 

□ 수입 관세 및 인증 정보

 

  ㅇ (관세) HS Code에 따라 관세, 소비세, 부가세 등 최소 50%에서 150%까지 부과되고 있음. 

 

음료 수입 시 관세율

                                                                                                                                                        (단위: %)

HS Code

항목명

관세

소비세

부가가치세

2201

30(최소 0.5달러/L)

100(최소 1.5달러/L)

20

2202

설탕이나 감미료 또는 향미를 첨가한 물

30(최소 0.6달러/L)

100(최소 1.8달러/L)

20

2009

과일 및 야채음료

30

0

20

자료원: 우즈베키스탄 관세청

 

  ㅇ (인증) 상기 품목 모두 내각령에 따라  수입 시 Compulsory certification 및 위생증명서를 관련 기관으로부터 발급받아야 함.

 

□ 수출 동향

 

  ㅇ (물) 설탕이나 감미료 또는 향미를 첨가한 물(HS Code 2202)의 우즈베키스탄 수출액은 113만 달러로 매우 소량만이 수출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으로의 수출이 93%를 차지

 

  ㅇ (설탕, 감미료 첨가 음료)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과 등 인접국으로 소량 수출되고 있음.   

 

설탕이나 감미료 또는 향미를 첨가한 물(HS Code 2202)의 우즈베키스탄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명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

합계

3,038

2,548

3,583

2,682

1,139

1

키르기스스탄

276

613

1,029

980

743

2

카자흐스탄

1,605

878

1,360

1,199

210

3

중국

-

-

84

54

154

4

인도

-

-

-

-

12

5

조지아

-

-

-

-

11

자료원: ITC Trade Map

 

  ㅇ (과일 및 야채음료) 원재료인 당도 높은 과일의 영향으로 우즈베크의 대표 수출 음료이며 2016년 수출액은 1254만 달러를 기록함.

    -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CIS 국가로의 수출이 대부분임.

 

과일 및 야채음료(HS Code 2009)의 우즈베키스탄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명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

합계

19,058

21,030

14,079

9,570

12,547

1

러시아

9,394

8,927

5,524

6,273

7,839

2

카자흐스탄

7,847

11,136

7,970

2,917

4,301

3

키르기스스탄

230

723

478

290

302

4

중국

-

-

23

30

64

5

인도

-

-

-

-

31

자료원: ITC Trade Map

 

□ 주요 생산기업 및 경쟁 동향

 

우즈베키스탄 주요 음료 생산 기업 정보

연번

기업명

홈페이지

브랜드명

1

Nestlé Uzbekistan

www.nestle.uz

Nestlé Pure Life(물) 등

2

Arktika Bottlers MChJ

www.arktikabottlers.uz

Arktika, Arctea, Fensi, Limonashka(탄산음료) 등

3

Hydrolife Bottlers

www.hydrolife.uz

Hydrolife(생수) 등

4

Agromir Food MChJ QK

www.agromir.uz

Bliss, Meva(과일음료) 등

자료원: KOTRA 타슈켄트 무역관 조사 자료

 

  ㅇ Nestlé사는 1866년 설립된 세계적인 식품·음료 생산업체임. 지속적인 생산라인 확대로 현재 4000여 개의 브랜드를 6개 대륙에 걸쳐 판매 중이며, 150개 이상의 국가에서 461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음. 1999년 10월 13일 발표된 대통령령에 따라 'Nestlé Uzbekistan MChJ' 우즈베크-스위스 합작 기업을 건설, 2002년 Namangan 지역에 첫 번째 공장 운영을 시작했음.

    - 현재 Nestle PURE LIFE를 비롯한 Nestle ® SUTIM™ 우유, 시리얼, 이유식 등을 생산하고 있음.


  ㅇ Hydrolife Bottlers 는 2003년 우즈베키스탄에서 생수를 생산하는 업체이며, 2016년 우즈베키스탄 음료 시장에서 4%의 점유율로 8위를 차지함.

    - 적극적인 판촉 캠페인과 높은 가격 경쟁력으로 우즈베키스탄 내의 점유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스포츠 전용 물병을 개발해 생산하고 있음.

 

  ㅇ Arktika Bottlers MChJ사는 2007년 설립돼 무 알코올 음료 생산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음. 2015년 우즈베키스탄 소프트 드링크 시장에서 14%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으며 끊임없는 신 제품 개발로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 현재 Fensi Tarkhun, Fensi Buratino, Arktika Dyushes, Arkitka Cherry 등의 브랜드를 생산하고 있음.

 

  Agromir Food MChJ QK사는 2016년 우즈베키스탄 소프트 드링크 시장에서 5%의 점유율로 5위를 차지했으며 회사의 핵심 사업은 과일 및 야채음료, 농축액과 잼 등

    - 현재 우즈베키스탄 과일 및 야채 음료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브랜드인 Bliss와 Meva를 생산하고 있음.

 

우즈베키스탄 대표 음료 브랜드별 점유율

                                                                                                                                                              (단위: %)

브랜드명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Nestlé Pure Life (Nestlé SA)

9.4

9.9

10

8.7

Hydrolife

5.6

6

6.6

7.6

Arktika

5.9

6

6.1

6.3

Arctea

6.7

7.4

6.6

6.2

Coca-Cola(Coca-Cola Co, The)

5.2

4

6.4

5.5

Ays Tea

4.7

5.3

5.3

5

Shaffof

3.7

4.1

4.3

4.6

Pepsi(PepsiCo Inc)

6.5

6.9

4

4.2

Fuse Tea(Coca-Cola Co, The)

2.2

2.5

3.7

4

Smile

-

-

2.7

3.5

Fensi

1.7

1.7

2.1

2.8

Bliss

2.2

2.4

2.4

2.3

기타 브랜드

46.2

43.8

39.8

39.3

합계

100

100

100

100

자료원: Euromonitor사 Passport GMID

 

□ 시장 전망

 

  ㅇ Euromonitor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음료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약 5.7%의 성장률을 보일 전망 

    - 품목별로는 생수 약 5.8%, 탄산음료 3.4%, 과일 및 야채음료 7.9%, 이온음료 및 에너지음료 14.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  

 

우즈베키스탄 음료 시장 제품 유형별 전망

                                                                                                                      (단위: 십억 우즈베키스탄 솜, 만 달러)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생수

(Bottled water)

249.8

(6,223)

264.8

(6,596)

282.1

(7,027)

301.1

(7,501)

322.0

(8,021)

탄산음료

(Carbonates)

561.6

(13,991)

579.6

(14,439))

604.6

(15,062)

630.3

(15,702)

657.1

(16,370)

과일 및 야채음료

(Juice)

324.6

(8,086)

355.9

(8,866)

385.6

(9,606)

417.9

(10,411)

452.6

(11,275)

이온음료 및 에너지음료

(Sports and Energy Drinks)

66.8

(1,664)

75.7

(1,885)

87.4

(2,177)

100.7

(2,508)

115.6

(2,879)

합계

1,202.8

(29,964)

1,276.0

(31,786)

1,359.7

(33,872)

1,450

(36,122)

1,547.3

(38,545)

자료원: Euromonitor사 Passport GMID(환율: US$ 1 = UZS 4,014)

 

□ 시사점

 

  ㅇ 우즈베키스탄 인구는 중앙아시아 최대인 3212만 명이며 인구 중간연령이 약 29세로 매년 약 2%의 인구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음.  1인당 GDP가 아직 2000달러 초반을 기록하고 있으나 2004년부터 국가 GDP 상승률이 지속 연 7%를 상회하는 점, 여름이 길고 최고 기온이 45도를 넘는 무더운 기후를 가지고 있는 점 등 음료 시장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

 

  ㅇ 다만 우즈베키스탄은 자국 산업 보호 및 수입 억제를 위해 자국에서 생산되는 소비재 품목의 해외 수입 시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음료류 수입 시 최소 50%에서 최대 150%까지 관세를 납부해야 되고, 수입자가 수입대금 환전 신청 시 환전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 시장 진출 저해요소가 많음.

    - 2017년 1월 1일부터 설탕이나 감미료 또는 향미를 첨가한 물(HS Code 2202)에 대한 최소 소비세를 리터당 1달러에서 1.8달러로 80% 인상, 최소 관세를 리터당 0.15달러에서 0.6달러로 400%로 인상하는 등 수입 억제 정책을 강화하고 있음.


  ㅇ 아울러 네슬레, 코카콜라 등 기 진출 글로벌 기업과 현지 생산의 이점을 활용한 로컬 선점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점, 국민들이 가격, 익숙함 등의 이유로 현지 생산 제품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점은 우리 기업들이 우즈베크 시장에서 가격 및 인지도로 경쟁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임.


  ㅇ 수입 제품 중 레드불의 경우, 2% 초반 대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젊은 소비자 층을 대상으로 브랜드 인지도와 제품의 특징을 통해 비싼 소비자 가격에도 불구, 틈새시장(Niche Market)을 공략해 에너지 음료 시장에 진출한 사례로 국내 기업들 또한 이를 착안해 우즈베크에는 없으나 현지인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한국의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음료 제품으로 틈새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평가됨.

    - 높은 관세와 옅은 소비층을 고려했을 때 기본적으로 타 국가와 최소 주문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함.  


  ㅇ 타슈켄트 국제 식품 전시회(WorldFood Uzbekistan)와 같은 전시회 참가를 통해 우즈베키스탄 현지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바이어를 발굴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며 현지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기 위한 TV, SNS를 활용한 광고 및 판촉 캠페인을 실시해 현지 생산 제품에 비해 낮은 시장 인지도를 극복하는 전략 또한 요구됨.

 

 

자료원: 우즈베키스탄 국가통계위원회, ITC Trade map, Emerics, Euromonitor사 Passport GMID,  Korzinka, Makro supermarket, KOTRA 타슈켄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우즈베키스탄 음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