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우루과이 경제 회복 조짐
  • 경제·무역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윤예찬
  • 2017-07-21
  • 출처 : KOTRA

- 아르헨티나, 브라질 경제회복이 가장 큰 변수 -




□ 2017 우루과이 경제지표, 대부분 긍정적


  ㅇ 2016년까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부진했던 여러 지표들이 반등

    - 2016년 GDP 성장률이 1.5%를 기록한 것에 이어 2017년에는 그보다 소폭 상승한 2.2%에 이를  것으로 기대됨.

    - 인플레이션은 2016년 후반부터 하락하기 시작해 연말 8.1%에 그쳤으나, 2017년 1월 8.3%까지 다시 상승함. 그러나 지난 3월 6.71%까지 하락해 하락추세를 이끌 것으로 전망

    - 2016년 재정 적자가 2013년 이후 꾸준히 상승해 GDP의 4.0%였던 것에 비해 2017년 세수 증가를 통해 이를 GDP의 3.7%까지 낮출 것으로 예상함.


우루과이 주요 경제지표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예측)

GDP성장률(%)

4.6

3.2

0.4

1.5

2.2

1인당 GDP(US$, PPP)

20,036

20,983

21,214

21,731

22,646

실업률(%)

6.6

6.6

7.9

7.9

7.8

GDP대비 재정적자(%)

-2.2

-3.3

-3.6

-4.0

-3.7

GDP대비 공공부채(%)

60.1

60.9

64.2

62.7

63.4

대달러환율

21.39

24.11

29.78

28.84

29.97

인플레이션(CPI)

8.5

8.3

9.4

8.1

7.5

 

  ㅇ 우루과이와의 대외무역 지표도 견조한 증가세를 보임.

    - 2016년 우루과이의 수출률은 2015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7.3%)한 83억8400만 달러를 기록. 그러나 증가된 1분기 수출량과 가격의 안정 또는 잠재적 상승을 고려했을 때 2017년에는 6p% 정도 상승한 86억3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기대됨. 현재 경기조건이 지속된다면 2018년도에도 수출은 성장할 전망
    - 주요 수출품으로는 육류, 셀룰로오스, 대두 순이며 최대 수출국은 중국, 브라질, 네덜란드, 미국 순임(2016년 기준).
    - 2016년 우루과이로의 수입 역시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3년 연속 감소, 13.6% 줄어든 80억4100만 달러를 기록. 2017년에는 GDP 성장과 세 번째 펄프 공장 건설로 수입률이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수입품으로는 일반 차량, 풍차 부품, 플라스틱, 의류 순이며 중국, 브라질, 아르헨티나가 주요 수입국임(2016년 기준).


우루과이 주요 경제지표

                                                                                                                                            (단위: 백만 달러, fob 기준)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예측)

 상품수지

-1,352

-909

-242

343

-132

    - 수출

10,257

10,343

9,092

8,384

8,635

    - 수입

-11,609

-11,252

-9,334

-8,041

-8,767

 서비스 수지

241

143

476

699

531

 본원 소득수지

-1,881

-1,941

-1,494

-1,281

-1,255

 이전 소득수지

130

131

121

122

126

 경상수지(1+2+3+4)

-2,861

-2,576

-1,139

-117

-730

 

□ 메르코수르(MERCOSUR)의 시장개방 움직임 가속화


  ㅇ 트럼프 미국 정부 출범 후 세계적으로 자유무역주의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우루과이가 속해 있는 자유무역협정인  메르코수르(MERCOSUR)는 중남미 공동 대응을 위해 EU,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에 힘쓰고 있음.

    - 한국과도 2017년 3월 초 무역협정(TA) 협상개시를 위한 공동선언문 서명(2017년 3월 3일)

    - 그러나 일각에서는 트럼프 정부가 양자 FTA를 선호하는 만큼 미국과 양자 FTA 협상을 재개해야 하며, 기체결한 협정들에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양국 교역 및 투자 규모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주장

    - 한편, 미국의 자유무역에 대한 태도 변화로 인해 북미는 물론 세계 무역시장에서 입지가 좁아질 것으로, 멕시코가 속해 있는  태평양동맹(PA)과 메르코수르 간의 협력도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


  ㅇ 2017년 3월 EU와 메르코수르의 회담에서 자유무역협상에 관해 양측 모두 긍정적 입장을 취했으며, 오는 7월 브뤼셀에서 다시 회담을 가지기로 합의


  ㅇ 중국은 초반 미국과 중남미국가들 간 무역 고리가 느슨해진 틈을 타 우루과이를 포함한 중남미 국가들과의 FTA에 박차를 가했으나, 2018년으로 예정됐던 우루과이와의 FTA가 중국 내 일자리 상실 문제와 수요 둔화 등으로 최근 체결 지연 가능성을 언급


중남미와 중국 간 무역 동향(2000~2015)

external_image


□ 2017년 우루과이 경제전망 종합


  ㅇ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우루과이도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보임. 그러나 장기적으로 주 수출품인 농산물 및 원자재 가격 약세, 저유가 효과로 우루과이 경제 전반에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하고 있다는 평가

    - 농축산물 수출과 금융업, 관광업이 국가 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최근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경제 회복으로 관광 수입이 증가해 국가 재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 우루과이 내 천연가스 생산 및 에너지 매트릭스 다양화를 목적으로 2007년도 우루과이 정부가 추진한 재기화 시설 건설사업의 규모가 시장수요 감소와 LNG가 가격 하락으로 축소될 전망

    - 특히나 중국발 수요둔화가 촉발하는 농산물 가격 약세는 우루과이에 커다란 악재로 작용할 것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율이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2016년 후반부터 가시화되기 시작한 소비자 구매력 상승으로 올해 내수 증가와 수출 증가, 관광 세입의 증가 등으로 견조한 경제성장을 보일 것으로 보임.

    - 환율안정에 따라 두 자릿수를 기록했던 인플레가 2016년 하반기 이후로 급격히 안정화되는 모습


우루과이 최근 인플레이션

external_image


  ㅇ 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 입장에서 매력도는 낮아질 것으로 보임.

    - 우루과이는 그동안 아르헨티나의 수입통제, 브라질의 불경기에 따른 대체시장으로 각광

    - 인접국에 비해 10%도 안 되는 인구로 인해 내수시장이 작지만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무역제도 및 높은 소비력이 이를 뒷받침

    - 그러나 아르헨티나 시장이 개방되고 브라질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우루과이 작은 내수시장 규모의 단점이 부각될 것으로 보임.



자료원: WTO, focus-economics.com, heritage.org, elobservador.com.uy, 한국수출입은행, BBVA Uruguay Economic Outlook, Uruguay XXI, KOTRA 부에노스아이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우루과이 경제 회복 조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