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허유진
  • 2017-06-15
  • 출처 : KOTRA

- 인프라 구축 위한 건설 프로젝트 증가로 건설자재 수요 꾸준 -

- 한국, 시멘트·철강·아스팔트 수출 순위 4·5위로 안정적인 수입시장 점유 -


건설자재 철강

자료원: Planting Acorns


□ 주요 상품명 및 HS code 및 관세율(8자리 기준)

 

  ㅇ 인도네시아 재무부 법령에 따라 건설자재는 아래와 같이 크게는 25개 종류로 분류돼 있음.

  

주요 상품명, HS Code 및 관세율표

번호

상품명

HS Code

수입 규제*

관세(일반)

AKFTA 관세

1

철이나 비합금강의

그 밖의 봉

7214.20.31,

7214.20.39,

7214.20.41,

7214.20.49,

7214.20.69,

MOT No 82/M-DAG/PER/12/2016

(일부 품목에 대해 MOI No 37/

M-IND/PER/2/2012 동시 적용)

17.5

6.40

7214.91.10

수입규제 없음

0

3.20

7214.99.10

2

철이나 비합금강의

7213.10.00

MOT No 82/M-DAG/PER/12/2016

17.5

6.40

7213.91.20,

7213.91.90,

7213.99.20,

7213.99.90,

(일부 품목에 한해 MOI No 37/

M-IND/PER/2/2012 동시 적용)

15

5

3

철이나 비합금강의 선()

7217.10.10

MOT No 82/M-DAG/PER/12/2016

10

5

7217.10.22

12.5

4

철이나 비합금강의

형강(形鋼)

7216.10.00~

7216.99.00

MOT No 82/M-DAG/PER/12/2016

또는 MOI No 20/M-IND/PER/2/2011

(두가지 모두 적용 가능)

20

9.6 또는 15또는 20

5

철강으로 만든 널말뚝과

용접된 형강(形鋼)

7301.20.00

MOT No 82/M-DAG/PER/12/2016

15

9.6

6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7210.41.11,

7210.41.12,

7210.41.19,

7210.41.91,

7210.41.99,

7210.49.11,

7210.49.12,

7210.49.13,

7210.49.19

① MOI No 7/M-IND/PER/2/2008

MOT No 82/M-DAG/PER/12/2016

20

8

7210.49.91

0

7210.49.99,

7212.30.11,

7212.30.12,

7212.30.14,

7212.30.19

7212.30.91

8

N/A

7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7210.12.10,

7210.12.90

MOT No 82/M-DAG/PER/12/2016

12.5

0

7212.10.11,

7212.10.13,

7212.10.19,

7212.10.92,

7212.10.93,

7212.10.99

8

8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7210.70.11,

7210.70.19

MOT No 82/M-DAG/PER/12/2016

20

8

7210.90.10,

7210.90.90

15

9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7212.40.11

MOT No 82/M-DAG/PER/12/2016

20

6.40

7212.40.12,

7212.40.19,

7212.40.91,

7212.40.92,

7212.40.99

8

10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7210.61.11,

7210.61.12,

7210.61.19,

7210.61.99,

7210.69.11,

7210.69.12,

7210.69.19,

7210.69.91,

7210.69.99

MOT No 82/M-DAG/PER/12/2016

20

6.40

7212.50.13,

7212.50.14,

7212.50.19

수입 규제 없음

12.5

8

7212.50.23

   ① MOI No 39/M-IND/PER2/2012

MOT No 82/M-DAG/PER/12/2016

20

6.40

7212.50.24

7.47

7212.50.29

8

7212.50.93

MOT No 82/M-DAG/PER/12/2016

15

5

7212.50.94,

7212.50.99

20

8

11


철강으로 만든 구조물

7308.10.10,

7308.10.90,

7308.20.11,

7308.20.21,

7308.20.29,

7308.40.10,

7308.90.20,

7308.90.40

MOT No 82/M-DAG/PER/12/2016

12.5

8

7308.90.50

수입 규제 없음

12

철강으로 만든 구조물

(지붕, 바닥재)

7308.40.90,

7308.90.60,

7308.90.92,

7308.90.99,

7308.90.60

MOT No 82/M-DAG/PER/12/2016

12.5

8

13

알루미늄으로 만든 구조물

7610.90.10

MOT No 82/M-DAG/PER/12/2016

20

N/A

7610.90.91,

7610.90.99

0

14

시멘트

2523.10.00

No restriction

0

0

2523.90.00,

2523.30.00,

2523.29.00,

2523.21.00

  MOT No 40/M-DAG/PER/8/2013

(일부 품목 MOI No 35/M-IND/

PER/4/2007 동시 적용)

15

시멘트 제품·콘크리트 제품·

인조석 제품

6810.91.00,

6810.11.00,

6810.19.10,

6810.19.90

수입 규제 없음

10

0

16

주입법과 롤(roll)법으로 제조한 유리(패널, 타일, 블록)

7003.12.20,

7003.12.90

① MOI No 4/M-IND/PER/1/2010

MOT No. 71/M-DAG/PER/11/2012

jo. MOT No. 40/M-DAG/PER/9/2009 

5

0

17

주입법과 롤(roll)법으로 제조한 유리(지붕 타일)

7003.19.90

MOI No 4/M-IND/PER/1/2010

5

0

18

인상법(引上法)과 취입법

(吹入法)으로 제조한

유리 (Sheet Glass)

7004.20.90

MOT No. 71/M-DAG/PER/11/2012

jo. MOT No. 40/M-DAG/PER/9/2009

5

0

7004.90.90

MOI No 4/M-IND/PER/1/2010

5

0

7005.10.90

15

5

7005.21.90

0

7005.29.90

7007.19.90,

7007.29.90

MOT No. 71/M-DAG/PER/11/2012

jo. MOT No. 40/M-DAG/PER/9/2009

5

7008.00.00

수입 규제 없음

19

도자제의 판석과 포장(鋪裝)용·노()용·벽용 타일, 도자제의 모자이크 큐브와 이와 유사한 것, 세라믹 포장재

6907.21.10

MOI No 84/M-IND/PER/9/2012

5

0

6907.21.22,

6907.21.23,

6907.21.24,

6907.21.91,

6907.21.92,

6907.21.93,

6907.21.94

20

20

나무로 만든 건축용

건구와 목공품

4418.10.00,

4418.20.00,

4418.40.00,

4418.50.00,

4418.60.00

① MOT No 97/M-DAG/PER/11/2015

Plant Quarantine of Indonesian Agricultural Quarantine Agency(IAQA)

5

0

21

플라스틱으로 만든 바닥깔개, 이 류의 주 제9호의 플라스틱으로 만든 벽 피복재나 천장 피복재

3918.10.11,

3918.10.19,

3918.90.11

수입 규제 없음

15

5

 3918.90.13

0

22

합판·베니어패널과

이와 유사한 적층 목재

4412.10.00

Plant Quarantine of Indonesian Agricultural Quarantine Agency(IAQA).

10

0

4412.31.00,

4412.33.00,

4412.34.00,

4412.39.00,

4412.94.00

① MOT No 97/M-DAG/PER/11/2015

Plant Quarantine of Indonesian Agricultural Quarantine Agency(IAQA)

23

석면시멘트 제품·셀룰로오스파이버시멘트 제품이나 이와 유사한 것

6811.40.10~

6811.40.90

수입 규제 없음

5

0

6811.81.00~

6811.89.90

5~10

24

제재목

4407.11.00~

4407.99.90

MOT No 97/M-DAG/PER/11/2015

0

0

25

천연의 역청(瀝靑)·아스팔트, 역청질 혈암(瀝靑質頁巖), 유모 혈암(油母頁巖), 타르샌드(tar sand), 아스팔타이트와 아스팔트질의 암석

2714.10.00

수입 규제 없음

5

0

2714.90.00

자료원: 무역부, 인도네시아 세무청, 재무부 법령 PMK No 24/10/2017 기준건설자재, 대한민국관세청

 

수입 규제 관련 법령*

번호

수입 규제 법령

내용

1

MOI No 20/M-IND/PER/2/2011

SNI 인증 필수[Indonesian Standard/Standar Nasional Indonesia(SNI)]

2

MOI No 35/M-IND/PER/4/2007

3

MOI No 37/M-IND/PER/2/2012

4

MOI No 39/M-IND/PER2/2012

5

MOI No 4/M-IND/PER/1/2010

6

MOI No 7/M-IND/PER/2/2008

7

MOI No 84/M-IND/PER/9/2012

8

MOT No 40/M-DAG/PER/8/2013

별도 검증 필수(Surveyor inspection)

9

MOT No 82/M-DAG/PER/12/2016

별도 검증 필수(Surveyor inspection)

10

MOT No 97/M-DAG/PER/11/2015

임업 합법 제품(Forestry Legality Product)

11

MOT No. 71/M-DAG/PER/11/2012
jo. MOT No. 40/M-DAG/PER/9/2009

별도 검증 필수(Surveyor inspection)

12

Plant Quarantine of Indonesian Agricultural

Quarantine Agency(IAQA)

N/A

자료원: 인도네시아 산업부, 인도네시아 무역부 

  

□ 선정 사유


  ㅇ 첫번째로 건설자재는 인도네시아 재무부 지정 HS Code 기준, 우리 기업이 인도네시아로 1억8735만 달러가량 수출하는 유망 품목으로, 건설 자재 분야로 건설 관련 대기업 뿐 아니라 중소·중견기업들의 수출 실적이 골고루 발생함에 대인니 수출 유망 품목으로 선정

 

  ㅇ 두번째로 도시 인구는 증가하면서 인도네시아 부동산 시장이 갈수록 성장, 건설 프로젝트도 날로 갈수록 증가하며 건설자재에 대한 수요도 비례해 증가하는 있는 상황임.

    - 또한, 정부는 100만 채의 가정용 주택을 짓고 있으며 이들 중 60만3516채는 저소득층 가구, 39만6484채는 중산층 가구를 위한 집임. 또한 저소득층의 경우 6만1575채의 저가 아파트를 건축할 계획을 세우고 있음.

 

  ㅇ 세번째로 인도네시아 건축시장 성장 전망이 대내외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됨. 

    - Asia Construction Look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잠재력이 큰 건축시장으로 선정됐으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5.2%로 인근 국가 평균 4.4%에 비해 높은 성장률을 거듭하고 있음.

    - PwC에 따르면 2015년 아시아태평양권 인프라 구축 예산을 2조1440억 달러로 추산하며, 그 중 인도네시아의 예산은 약 217억6000만 달러(290조3000억 루피아)로 약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ㅇ 네번째로 인도네시아 정부 주도의 인프라 사업이 증가하면서 건설자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음. 정부는 5500km의 철로, 2600km의 도로, 49개의 댐, 24개 항구와 35GW 규모의 전력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에 있음

    - 2017년 인도네시아는 인프라 구축을 위해 290억3000만 달러(387조3000억 루피아)로, 2016년의 237조7000억 달러(317조1000억 루피아)에 비해 22.14% 증가했음.

 

2015~2019년 인도네시아 5개년 유로도로 개발 건설 계획

지역

2015

2016

2017

2018

2019

합계

수마트라(km)

1.23

16.81

38.52

73.52

44.92

175

자바(km)

123.78

123.78

173.19

327.08

83.93

831.76

깔리만딴(km)

-

-

29.71

29.71

19.8

79.22

발리(km)

-

-

-

-

-

0

술라웨시(km)

-

-

11.7

27.3

-

39

총계(km)

125.01

140.59

253.12

457.61

148.65

1124.98

자료원: 공공사업부(2016)

 

    -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정부의 인프라 구축 계획으로 건설산업은 매우 유망전도한 업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2017년 민관합동 프로젝트 명부[The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Book]에 따르면 정부는 22개의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발주할 예정이며 예산규모는 약 84억 달러로 추산됨.

    - 정부는 총예산 규모 59억7000만 달러 규모의 5개의 해상 교통 또는 철로 구축사업을 발주했으며 또한 유로 도로 및 교각 건설 프로젝트는 16억 달러 규모임.

 

2017년 민관합동 프로젝트 명부[The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Book]

분야

프로젝트명

예산규모(백만 달러, 추정)

토양 폐기물 및

위생 시설

Bandar Lampung water supply

81.48

Final waste disposal site Legok Nangka, West Java

43.73

Pondok Gede water supply

25

Pekanbaru water supply

35.5

Sindang Heula water treatment plant

17

교통시설

Kabil Port, Batam

729

Kuala Tanjung International Hub Port, North Sumatera

3.67

Bitung International Hub Port, North Sulawesi

532

Makassar New Port

416

Patimban Port, West Java

3,203

Batam island railway

635

Urban railway city of Medan

477.4

유로 도로 및 교각

Sukabumi - Ciranjang

103

The 2nd Jakarta-Cikampek

834

Tanjung Priok Access Toll Road

281

Yogjakarta-Solo toll road

113

Yogjakarta-Bawen toll road

270

통신

Government multi function satellite

318

사회 인프라

Nusakambangan correctional institution

51.5

Sport facility papua

38.9

Sam ratulangi teaching hospital, North Sulawesi

28.7

Bandung Street Lighting West Java

157

자료원: PPP Book 2017(2016년 12월 출판)

 

□ 건설자재 시장 규모 및 동향

 

  ㅇ 인도네시아 전체 건설 시장 규모는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건설장비 및 건설 자재에 대한 수요도 계속적으로 증가함.

 

인도네시아 건설시장 5개년 성장 추세(2012~2016년)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매출(십억 달러)

175

194

222

251

279

부가가치(십억 달러)

59

66

74

84

93

이윤(십억 달러)

34

37

39

46

52

시장 규모(십억 달러)

181

201

228

257

285

자료원: Euromonitor

 

  ㅇ 특히, 인도네시아 조코위 대통령이 육성코자 하는 건설 장비 및 자재 관련 분야에는 시멘트, 철강, 아스팔트, 중장비 등이 있음.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에 소요된 시멘트, 철강, 아스팔트의 중량은 아래와 같으며, 이들 품목은 인도네시아 정부에서 많은 관심을 갖는 품목으로 우리 나라 기업들도 인도네시아로 철강제품을 중심으로 수출하는 품목임.

    - 대한민국 관세청 통계에 의하면 아스팔트는 다소 우리 대기업 실적이 주도 하는 편이나, 시멘트, 철강은 특히 우리 중소, 중견, 대기업이 골고루 수출하는 품목임.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주요 건설자재 중량 규모

(단위: 톤)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시멘트

3,282,740.32

2,688,909.44

4,860,248.68

4,366,039.54

 철강

1,046,549.09

818,129.89

1,560,558.05

1,387,352.58

 아스팔트

678,775.80

676,845.88

1,054,494.90

742,658.37

자료원: 공공사업부(2016)

 

  ㅇ 인도네시아 시멘트 시장 동향

    - 건설시장이 발전하며 가장 뜨고 있는 건설자재 분야는 시멘트이며, 인도네시아 시멘트협회에 의하면 2012년부터 2016년 사이의 시멘트 시장 평균 성장률이 5.36%로 밝힘.

    - 2012년 성장률이 14.5%로 가장 높은 기록을 세웠으며, 성장률은 차츰 둔화되나 다른 품목들에 비해서는 높은 편임.

2015년 시멘트 구매량은 6190만 톤이었으며, 2016년에의 시멘트 구매량은 6200만 톤으로 10만 톤이 증가했음.

 

2006~2017년 인도네시아 시멘트 구입 및 생산량 추이

                                                                                                                 (단위: 백만 톤)

external_image

주: 생산량(production capacity), 구매량(domestic consumption, 수요)

자료원: Asosiasi Semen Indonesia(ASI)/ Indonesia Cement Association

 

    - 시멘트 구매량 뿐 아니라 생산량 또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14년에서 2016년까지의 증가율이 연평균 약 13%임.

    - 시멘트 생산 분량이 2015년에 7500만 톤이며 위 10년간의 인도네시아 시멘트 생산량 추이 증가율로 봤을 때 2017년 1억200만 톤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

 

  ㅇ 인도네시아 철강 시장 동향

    - 건설자재에 포함되는 철강 제품은 위에 소개한 HS Code 7214, 7213, 7210, 7212, 7216, 7217 군에 해당되는 품목이며 인프라 프로젝트의 성행은 철강 산업의 판매량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

    - 위 HS Code 기준 인도네시아 철 및 철강산업협회(IISIA)는 2017년 철강 제품에 대한 현지 수요가 1470톤으로, 작년에 비해 수요량이 5% 증가했는데 2015년의 인도네시아 철강 구매량이 1130만 톤에 그쳤던 것에 비해 약 30% 증가했음.

    - 철강제품에 대한 수요는 국내외적인 경제 사정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가장 주요한 영향을 주는 영역은 거주용 건물 및 인프라 관련 건설분야와 자동차, 조선, 기계, 전자기기 등과 같은 제조업 분야임.

 

인도네시아 철강제품 구매 추이

                                                                           (단위: 백만 톤)

external_image

자료원: Indonesia Iron and Steel Industri Association (IISIA)

 

  ㅇ 인도네시아 아스팔트 시장 동향

    - 인도네시아 아스팔트 시장의 경우 국내 시장의 수요가 갈수록 성장하고 있음. 아스팔트의 90% 이상이 도로 건설에 사용되고 있는 상황임.

    -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가스회사이자 인도네시아에서 아스팔트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PT Pertamina 사에 따르면 2012년 인도네시아에서의 아스팔트 소비량이 100만 톤이었으며, 3년 후인 2015년에 130만 톤을 기록하며 3년 전에 비해 30%가 증가했음.

    - 2016년에 인도네시아 아스팔트 소비량은 약 140만 톤을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약 7.7%가 증가했음.

인도네시아 아스팔트를 생산하고 있음에도 수입이 지속되는 이유가 약 140만 톤의 수요 대비 아스팔트 생산량이 저조하기 때문으로 보고 있음.

    - 인도네시아 아스팔트 생산량은 2015년 기준 PT Pertamina사 60만 톤, WIKA(PT Wijaya Karya, 인도네시아 국영건설회사)사 30만 톤 등 총 90만 톤만 생산을 하고 있음.

    - 그럼에도 인도네시아는 아스팔트 생산을 장려하고 있어 WIKA의 벤처기업이 2013년 말에 설립됐으며, 500억 루피아를 투입해 국영기업 계열사인 Sarana Karya를 인수, WIKA Bitumen(아스팔트 전문 국영 기업)으로 상호를 변경했음.

 

external_image 

자료원: PT Pertamina

 

□ 인도네시아 주요 건설자재 수입 동향

 

2014~2016년 주요 건설자재 수입액 추이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4

2015

2016

시멘트

249.6

191.8

40.0

철강

1180.3

1102.8

1058.7

세라믹

195.1

191.8

214.4

아스팔트

18.7

21.6

9.2

구조

477.7

516.4

283.3

총계

2121.4

2024.4

1605.6

자료원: The World Trade Atlas

 

  ㅇ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품목은 철강으로 10억5870만 달러의 수입이 발생, 2016년 기준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주요 품목 수입시장의 65.9% 차지


  ㅇ 그 다음 세라믹이 2억1440달러로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주요 품목 수입시장의 13.32%이나, 우리나라의 대 인도네시아 주요 수출품목은 아님.


  ㅇ 우리 기업이 수출하는 건설자재 주요 품목은 철강 및 플라스틱 등을 포함 재무부에서 지정한 건설자재 품목의 대부분이며, 2015년 기준 우리 기업이 인도네시아로 수출한 금액은 총 1억 8735 달러로, 전체 대 인니 수출액의 약 2.4%를 차지


  ㅇ 이 중 철강, 시멘트, 아스팔트는 증가하는 인프라 구축 개발 건을 감당하게 하기 위한 정부 주력 육성 품목이자 우리 기업의 수출이 발생하고 있는 품목으로 상기 3개 제품에 대한 수입 동향을 분석해보기로 함. 

 

  ㅇ 인도네시아 시멘트 수입 동향

    - 인도네시아 시멘트 생산량은 국내 수요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수준이나 시멘트의 수입이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현지 시멘트 가격이 수입 제품에 비해 가성비가 떨어지기 때문

    - 인도네시아 시멘트 협회(Asosiasi Semen Indonesia, ASI)는 특히 인도네시아 동부에서 시멘트를 다량 수입하는 것으로 언급하며, 수입제품의 가격이 현지 제품의 가격에 비해 25%에서 40%까지 낮은 수준이라고 함.

    - 인도네시아 통계청에 의하면 시멘트 국내 시장은 2012년 이후부터 계속적으로 수입산이 지배하고 있으며, 2005년 당시만 해도 120만 톤만 수입을 했으나, 2012년에는 300만 톤이 돼 8년 새 수입중량이 2.5배가 증가했음.

    - 주로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는 베트남, 중국, 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2016년 기준 전체 시멘트 수입량의 94%가량 차지하나, 그 다음 우위를 차지하는 국가가 한국으로, 프랑스, 영국, 말레이시아, 대만, 미국 등보다 월등히 많은 수입량을 차지하고 있음.

 

2014~2016년 인도네시아 시멘트(건설자재) 대10개국 수입 실적

                                                                                                                                                     (단위: 톤, 백만 달러)

분류

2014

2015

2016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베트남

2,674,916.40

173.31

1,817,480.20

107.759

462,502.62

19.338

중국

57,615.10

4.076

143,137.65

11.264

195,512.93

10.708

대만

653,256.24

34.503

1,141,591.57

58.846

211,060.40

7.803

한국

196,775.59

9.837

73,999.99

3.534

31,653.12

1.272

프랑스

208.60

0.148

497.28

0.353

686.04

0.491

영국

0.00

0

139.05

0.117

210.00

0.19

말레이시아

296,480.43

16.755

108,743.48

5.962

175.00

0.14

대만

42,072.00

3.287

48.19

0.115

24.04

0.055

미국

0.00

0

0.60

0.003

0.10

0.003

홍콩

0.00

0

0.00

0

0.50

0.001

기타

135,113.61

7.679

3,357,265.25

3.806

0.67

0

총계

4,056,437.97

249.595

3,357,265.25

191.759

901,825.42

40.001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2016년에 시멘트 수입이 급격히 감소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 산업부가 수입제품 품목에 대한 SNI 인증(Sertikat Nasional Indonesia)를 받도록 하는 규정을 도입한 사실이 주요 원인으로 보임.

    - 인도네시아 시멘트협회에 의하면 이는 저품질의 수입 물품을 가려내기 위해 도입된 규정으로, 수입 자체를 제한하고자 하는 정부의 입장은 아니라고 함.

 

  ㅇ 인도네시아 철강제품 수입 동향

    - 인도네시아 철 및 철강산업협회(IISIA)의 해외영업본부장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철강시장은 수입제품이 우세한 시장이며, 특히 중국산의 경우 최근에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과잉공급되고 있음.

    - 2016년 인도네시아 무역부는 중국과 싱가포르, 우크라이나로부터의 열연강판 수입을 제한하기 위해 2016년 4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총 3년 동안 반덤핑관세를 부과

    - 철강산업은 인도네시아 내수시장을 진작하기 위해 수입 규제를 두려고 하나, 품질과 가격 등의 문제로 아직까지는 수입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 기업도 인도네시아로 수출을 꾸준히 하고 있는 품목임, 

    - 인도네시아 국내 철강 제품 수요량은 내수 생산량보다 높아, 내수 제품이 국내 수요의 약 77%밖에 충족시키기 못함에 따라 수입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자체 철강 생산량이 증가하며 철강제품 단가 하락으로 수입액이 감소하고는 있으나, 관세를 높여 수입규제를 가하는 중국산의 경우는 제품 가격이 현지 생산 판매 제품보다 더 저렴하며, 수입산 전반적으로 인도네시아 산 보다는 품질 면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수입은 계속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임.

    - 건설자재용 철강 수입액은 2016년 10억6000만 달러로 전년의 11억 달러에서 4000만 달러가량 감소했음.

    - 인도네시아는 철강제품을 주로 베트남, 일본, 중국에서 수입해오며 이들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6년 기준 약 66.23%를 차지했음.

    - 뒤이어 한국제품이 많이 수입되고 있으며 2016년 수입 실적이 1억1204만 달러를 기록, 전체 수입의 10.58%를 차지하고 있음.

    - 전반적으로 건축자재 관련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이 감소하고 있음에도, 한국 제품의 수입중량은 최근 3년 동안 증가하고 있으며 실제로 인도네시아 수입업자도 한국제품의 우수성을 보고 수입을 꾸준히 원하는 상황임.

 

2014~2016년 인도네시아 철강제품(건설자재) 대10개국 수입 실적

                                                                                                                                                                    (단위: 톤, 천 달러)

분류

2014

2015

2016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베트남

368,690.34

310,915.3

423,717.72

310,066.1

489,701.61

299,083.4

일본

303,756.68

281,495.8

266,884.61

234,363.6

321,489.16

241,215.6

중국

198,834.80

141,161.2

399,237.67

197,082.8

408,821.54

160,958.9

한국

128,080.20

116,280.4

132,855.70

117,357.4

157,458

112,041.3

대만

60,073.05

48,821.37

45,350.67

35,257.57

52,035.06

29,062.23

말레이시아

58,964.49

33,884.85

17,965.12

25,778.45

38,563.40

28,565.83

싱가포르

30,449.27

46,330.75

52,755.09

35,928.2

31,940.98

25,982.08

태국

2,5151.15

16,029.39

19,693.67

11,758.53

15,419.09

8,354.057

인도

17,150.50

16,358.98

4,928.41

4,358.536

4,689.22

3,745.044

독일

3,685.39

4,985.126

3,208.09

3,575.594

1,866.83

1,899.888

기타

47,306.04

164,016.8

39,431.46

127,283.2

9,745.99

147,811.7

총계

1,242,141.91

1,180,280

1,406,028.21

1,102,809.98

1,531,750.88

1,058,750.03

자료원: The World Trade Atlas

 

  ㅇ 인도네시아 아스팔트 수입 동향

    - 인도네시아 기업의 아스팔트 생산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스팔트는 지속적으로 수입되고 있으나, 인도네시아가 2015년 이래 국내 아스팔트 시장을 보호하려 해 수입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

    - 2014년에 총 1871만 달러의 건설 자재용 아스팔트가 인도네시아에 수입됐으나, 2015년에 아스팔트 수입액이 2155만 달러가 되면서 전년 대비 15.2% 가량 증가했음.

    - 그러나 2016년에 아스팔트 수입시장이 대폭 축소되며 923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으나, 한국의 수입실적은 약 50만 달러로 전체 수입 시장의 5위를 차지함. 수입 시장점유율은 5.4%를 기록

    - 2016년 기준으로 인도네시아 아스팔트 수입 시장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이란,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한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임. 오히려 한국 기업이 미국, 이탈리아, 중국, 오스트리아, 일본보다도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38배까지 인도네시아에 수출을 하고 있는 상황임.

    - 이는 한국 제품이 가격경쟁력에서 월등한 중국 제품과 품질경쟁력에서 유리한 미국, 유럽, 일본 제품등과 견주었을 때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매우 유리한 입지를 점하고 있음을 나타냄.

 

2014~2016년 인도네시아 아스팔트(건설자재) 대10개국 수입 실적

                                                                                                                                                                            (단위: 톤, 달러)

분류

2014

2015

2016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말레이시아

9,315.62

5,560,000

10,876.88

5,580,000

9,647.93

4,180,000

싱가포르

6,845.29

4,050,000

10,629.09

4,790,000

6,169.84

1,950,000

이란

10,077.84

5,460,000

12,546.83

4,810,000

4,098.05

1,380,000

아랍에미리트

1,329.58

750,000

3,612.63

1,580,000

1,967.11

620,000

한국*

2,000.29

1,230,000

3,313.66

1,450,000

1,938.34

500,000

미국

508.29

1,620,000

291.11

1,260,000

77.01

240,000

이탈리아

0

0

0

0

466.2

170,000

중국

14.7

10,000

1,053.08

470,000

405.04

140,000

호주

0

0

0.21

8,000

2.21

30,000

일본

0.07

1

1.06

2,000

3.58

7,000

기타

7.62

29,000

3,778.31

1,600,000

0.08

13,000

총계

30,099.30

18,710,000

46,112.86

21,550,000

24,775.39

9,230,000

주: 한국 제품의 경우 대한민국 관세청 자료에 의해 아스팔트는 HS Code 2713 혹은 2715 형태로 수출이 되며 

인도네시아로 수입될 때는 HS Code 2714류로 유입되고 있음

자료원: The World Trade Atlas   

 

□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경쟁업체 동향

 

  ㅇ 인도네시아 시멘트 경쟁 업체 동향

    - 인도네시아 시멘트 시장의 유망성이 대두되면서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으며 새로운 경쟁자들이 더 낮은 가격으로 시멘트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

    - 2015년 2분기 무렵부터 업체들이 시멘트 단가를 내리기 시작했으며 Anhui Conch, Panasia, Siam Cement, Cemindo Gemilang and Jui Shin 사 등의 이들 업체가 인도네시아 시멘트 빅 3(BIG 3) 업체 제품 단가보다 20%나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했음.

    - 인도네시아 시멘트 협회는 인도네시아 현지 생산 기업의 시멘트 단가는 평균 1톤당 90달러이나, 수입산 시멘트는 1톤당 52%로 시멘트 단가가 내수 생산 제품보다도 무려 40%가 낮다고 언급

    - 품질과 가격면의 우수성을 내세우며 외국계 기업 또는 새로운 현지 기업들이 시장을 계속해서 진입하고 있으나, 전통적으로 해당 시장에서의 주요 경쟁 업체는 여전히 Semen Indonesia, PT Indocement Tunggal Perkasa Tbk, PT Holchim Indonesia Tbk 사이며, Semen Indonesia의 시장 점유율은 2016년 기준 41.4%으로 나타났으며, Indocement Tunggal Perkasa Tbk 사의 경우 26%, PT Holchim Indonesia Tbk 사는 12.4%를 차지했음. 

 

시멘트 주요 경쟁사 현황

경쟁사명

2016년 총판매량

(만 톤)

경쟁사 동향 및 주요 참고사항

Semen Indonesia

2,567

- 름방(Rembang)지역 시멘트 공장 건설 예정

-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은 시멘트 생산 업체

PT Indocement

Tunggal Perkasa Tbk

1,612

- 2016년에 시멘트 수출량 대폭 증가( 39톤으로 전년대비 83.1% 증가)

- 해당 회사의 자회사는 인도네시아 주요 콘크리트 업체인 PT Pinirbeton 사로 연간 235만 톤의 콘크리트 생산

PT Holchim

Indonesia Tbk

788

- 인도네시아에서 3번째로 생산량이 가장 많은 시멘트 생산 업체로 나로공, 서부 자바, 찔라짭, 중부 자바, 뚜반, 동부 자바 등에 시멘트 생산공장을 소유하고 있으며 연간 최대 1250만 톤의 시멘트 생산 능력 보유

- 자회사는 PT Holcim Beton d/h 사와PT Trumix Beton 사로 인도네시아 주요 콘크리트 업체임

  

    - 주요 경쟁업체들의 판매 실적을 살펴보면 인구가 밀집돼 있고 개발이 됐거나 한참 진행중인 자바와 수마트라 위주로 시멘트가 판매되는 상황

 

2016년 인도네시아 시멘트 주요 경쟁사 지역별 시장 점유 현황

지역

전체 판매량
(천 톤)

Semen Indonesia

(%)

PT Indocement Tunggal Perkasa Tbk(%)

PT Holchim

Indonesia Tbk (%)

자바

33,740.3

37.7

34.3

15.4

수마트라

13,613.8

42.3

11.4

13.8

깔리만딴

4,196.2

41.7

23.5

7.8

술라웨시

5,441.8

62

11

1.5

누사 뜽가라

3,534.4

34.7

33.1

4.7

동부 자바

1,480.5

58.4

16.7

1.4

인도네시아

62,007.1

41.4

26

12.4

자료원: 인도네시아 시멘트협회, PT Indocement Tunggal Perkasa Tbk 2017 사업공개보고서

 

  ㅇ 인도네시아 철강 업체 경쟁 동향

    - 인도네시아 무역부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철강 회사는 2016년 기준 총 157개이며, 그 중 PT Krakatau Steel 사와 Gunung Steel Group (GSG)사가 주요 경쟁업체로 등극

    - 또한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가 철강 수요량을 외국인 투자를 통한 철강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1위 철강업계인 PT Krakatau Steel 과 포스코가 2015년 합작법인을 설립해 300만 톤의 철강 생산을 시작했으며, 2020년에는 400만 톤이 될 것으로 기대

    - PT Krakatau Steel 다음으로 주요 경쟁사로 등극되는 인도네시아 철강업체는Gunung Steel Group으로 연간 총 130만 톤의 판매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3개년 동안 국내외 참여 프로젝트 참여 수가 10개임.

 

철강 주요 경쟁사 현황

경쟁사명

2016년 총판매량

경쟁사 동향 및 주요 참고사항

PT Krakatau Steel Tbk

245만 톤

- 1971년에 설립됐으며, 2010년에 인도네시아 주식 상장

- 주력분야는 고부가가치 철강 생산(나선형 및 ERW 파이프), 시설 산업(용수, 전기), 인프라 산업(항만, 산업시설 등), EPC, 정보기술 등의 분야

- 우리 기업인 POSCO와 합작법인 설립(Krakatau-POSCO)했으며 또한 일본기업과의 합작법인 설립(Nippon Steel & Sumitomo Metal, Osaka Steel Co Ltd. PT Krakatau Nippon Steel Sumikin)

Gunung Steel Group

130만 톤

- 1986년에 설립됐으며, 해당 회사는 열연강판만 생산했음

- 건설자재 관련 철강 분야 및 서비스 종류별 각각의 다른 제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4개의 자회사를 소유하며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에 참여(PT Gunung Garuda, PT Gunung Raja Paksi, PT Gunung Sahapi Sakti, PT Gunung Steel Construction)

 

  ㅇ 인도네시아 아스팔트 업체 경쟁 동향

    - 인도네시아 아스팔트 주요 경쟁사는 국영 석유가스회사인 PT Pertamina와 마찬가지로 국영 건설 기업인PT Wijaya Karya(WIKA) 사의 자회사이자 국영 아스팔트 기업인 PT Wijaya Karya(WIKA) Bitumen 사임.

    - PT Pertamina는 주요 아스팔트 생산회사로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많은 생산실적을 보이고 있으며, 찔라짭과 그레식 두 지역의 공장에서 아스팔트를 생산하고 있어 국내 아스팔트 시장의 53%에서 62% 가량을 점유하고 있음.

    - 해당 회사는 2015년 말에 PT Wijaya Karya 사와 MOU를 체결하며 혼합아스팔트를 생산하는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약정. 현재까지 합작법인 설립 프로젝트는 진행되고 있지 않으며 2016년에 두 회사는 시장성평가를 진행했음.

    - 아직까지는 인도네시아 민간 기업은 아스팔트 내수 시장에서 주요 경쟁업체의 반열에는 들지 못하고 있음

 

아스팔트 주요 경쟁사 현황

경쟁사 명

2015년 총생산량

경쟁사 동향 및 주요 참고사항

PT Pertamina

60만 톤

- 해당 회사의 아스팔트는 Pertamina Refinery UP IV Cilacap 공장에서 CS2(이황화탄소)에 녹는 성질이 있으며, 방수가 되고 들러붙는 성질의 반고체 형태의 아스팔트를 생산

- 해당 회사의 생산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4년에 아스팔트를 45만 톤을 생산했던 것을 2017년에는 122.22% 증가한 약 100만 톤이 생산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PT Wijaya Karya(WIKA)

Bitumen

30만 톤

- 해당 회사는 2017년 말부터 혼합 아스팔트 생산이 가능한 공장을 설립하려 하며 공장 신규 건설을 통해 연 매출이 1억2000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

- 해당 회사는 아스팔트 부분에서 주로 과립형태의 아스팔트와 아스팔트 추출물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가 주요 프로젝트에 참여

- 2017년도 연간 생산량은 30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

 

□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수입 규제 및 주요 절차

 

   ㅇ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수입 규제 및 수입 절차 관련 법령은 크게 무역부, 산업부, 재무부 등의 법령에 따르게 돼있으며, 위 3개 분류로 인도네시아 주요 건설자재 품목에 대한 수입 규제 및 주요 절차는 다음과 같음

 

무역부 수입 규제 종류 및 절차(무역부 법령)

관련 법령

수입 규제, 주요 절차 및 인증 사항

MOT No. 71/M-DAG/PER/11/2012 jo.

MOT No. 40/M-DAG/PER/9/2009

- 판유리를 수입할 경우 검증절차나 적하국에서의 검증기관의 기술 조사 필수

- 검증기관 조건: 검증 시행 자격(SIUJS), 5년 이상의 검증 경력이 있을 것, 해외에 계열사, 지점이나 지사가 있을 것

MOT No 40/M-DAG/PER/8/2013

- 클링커 시멘트(HS Code 25231010, 25231090)의 경우 무역부에 등록된 시멘트 수입 및 제조 업자(IP)로 등록된 업체만 수입 가능

- 포틀랜드 시멘트(HS Code 25232110, 25232100, 25232990), 알루미나 시멘트(HS Code 25233000) 수경 시멘트(HS Code 25239000)를 수입할 경우 무역부에 등록된 시멘트 수입 업자로부터 인정된 공식 레터가 있어야 함

- 수입 대상 시멘트에는 SNI(인도네시아 표준 인증번호, SPPT-SNI)가 있어야 하며 시멘트 포장 용기에 동 인증 번호가 표기돼있어야 함. 이는 적합 제품 인증이며 수입 통관 시 필수로 요구되며 규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수입이 거부될 수 있음

- 생산업자나 공인된 연구기관에서 발급한 성분분석인증이 검열과정에 필수로 요구됨

- 클링커 시멘트에 대한 수입 검증은 원산지 증명, HS 코드 및 제품 설명, 유형 및 중량, 선적 시간, 최종 목적지 및 라벨과SNI 인증 간의 합치성에 대한 정보가 충족돼야 함

MOT No 97/M-DAG/PER/11/2015

- 규정의 부속서에 언급된 모든 임산물 수입자는 합법적 임산물 제품 요건과 같은 수입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함

· 제품 제조에 들어가는 원료 또는 보조 재료로 사용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제조업자 수입 인증 번호(Angka Pengenal Impor Produsen (API-P)), 수입한 물품을 그대로 판매하기 위한 목적으로 물품을 수입하는 자는 일반 업자 수입 인증 번호((Angka Pengenal Import Umum (API-U))를 득해야

· 또한 무역부 장관으로부터 수입 승인을 획득해야 함

- 수입 권고를 받는 회사는 규정 준수를 위해 감사 심사를 받아야 함

MOT No 82/M-DAG/PER/12/2016

 

- 무역부에 수입승인서(Surat Persetujuan Impor, SPI)를 신청해 합법적인 수입절차를 진행해야 하며, SPI를 받기 위해서는, API-U, API-P, 수입 업체 수, 산업부 추천서, 판매 계약서, 정품증서(밀 서티) 등을 제출해야 함

- SPI의 유효기간은 총 6개월임

- 모든 철 및 강철 제품은 무역부로부터 지정된 검증기관의 검증절차를 거쳐 수입돼야 함

- 검증에는 원산지 증명, HS 코드, 제품 종류, 중량, 제품 검증서, 철 및 강철 제품과 정품증서 간의 합치성 검증이 포함돼야 함

 

산업부 수입 규제 종류 및 절차(산업부 법령)

관련 법령

수입 규제, 주요 절차 및 인증 사항

MOI No 35/M-IND/PER/4/2007

- 수입되는 시멘트는 반드시 SNI(Standar Nasional Indonesia) 인증을 받아야 하며 시멘트의 품질을 보증하고 내국 제품과의 건전한 경쟁 구도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임

- 모든 기업은 시멘트 포장지에 SNI 마크를 인쇄해야 하나 벌크 시멘트일 경우 SNI 마크는 선적 서류에 포함돼야 할 것

MOI No 0007/M-IND/PER/2/2008

- 철강제품에 대한 SNI 인증 획득 필수

- 해당 인증서 발급은 LSPro라는 기관이 수행 

MOI No 4/M-IND/PER/1/2010

- 판유리에 대한 SNI 인증 필수

- 해당 인증서 발급은 LSPro라는 기관이 수행 

- SNI인증을 받지 않거나 관련 규정을 따르지 않은 판유리 제품에 대해서는 수입이 거부되며 원산지로 재수출될 예정

MOI No 20/M-IND/PER/2/2011

- HS Code 7216군에 속하는 모든 제품은 반드시 SNI인증을 받을 것

- 철강제품은 수입 및 제조업자에 대해서만 수입이 가능(단순 수입업자 불가)

- 수입 시 산업부의 수입증명서(Surat Keterangan)가 있어야 하며 동 서류에는 사업자 신분(사업자등록증), 총 생산가능용량 및 생산 계획, 수입 계획, 제품 상세 설명 등이 표기돼 있어야 함 

MOI No 37/M-IND/PER/2/2012

- HS Code 7213과 7214 제품(철강 제품)에 대해서 반드시 SNI 인증을 받을 것

- 철강제품은 수입 및 제조업자에 대해서만 수입이 가능(단순 수입업자 불가)

- 수입 시 산업부의 수입증명서(Surat Keterangan)가 있어야 하며 동 서류에는 수입 목적, 총 생산가능용량 및 생산 계획, 수입 계획, 제품 상세 설명 등이 표기돼있어야 함 

MOI No 39/M-IND/PER2/2012

- HS Code 7210과 7212 제품(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서 반드시 SNI 인증을 받을 것

- 수입 시 산업부의 수입증명서(Surat Keterangan)가 있어야 하며 동 서류에는 수입 목적, 총 생산가능용량 및 생산 계획, 수입 계획, 제품 상세 설명 등이 표기돼있어야 함 

MOI No 84/M-IND/PER/9/2012

- HS Code 6907과 6908 제품(세라믹 제품)에 대해서 반드시 SNI 인증을 받을 것

- 수입 시 산업부의 수입증명서(Surat Keterangan)가 있어야 하며 동 서류에는 사업자 신분(사업자등록증), 수입 목적, 총 생산가능용량 및 생산 계획, 수입 계획, 제품 상세 설명 등이 표기돼 있어야 함 

 주: 수입 절차 시 유의사항 수입 전에 수입자 고유 번호 및 SNI 인증 획득 절차가 마무리 돼야 할 것

 

재무부 수입 규제 종류(재무부 법령), 철 또는 비합금강(HS Code 7210.61.11)

번호

규제 기간

세이프가드 관세

1

규제 1년차(2014.7.15.~2015.7.14,)

4,998,784루피아(약 376달러*)/톤

2

규제 2년차(2014.7.15.~-2015.7.15,)

4,314,161루피아(약 324달러*)/톤

3

규제 3년차(2016.7.15.~2017.7.14,)

3,629,538루피아(약 273달러*)/톤

주*: 2017년 6월 기준 환율 적용(US$ 1 = IDR 13300)


□ 시사점 및 유의 사항


  ㅇ 인도네시아는 철강 수입에 대한 관세 장벽이 다소 높은 편이며 한국의 경우 한-아세안 FTA 가 적용됨에도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를 20% 매기고 있는 실정이며, 게다가 HS Code 72106111 품목에 대해서는 세이프가드 조치까지 취해졌음.


  ㅇ SNI 인증과 같은 비관세 장벽 또한 시멘트, 목재, 세라믹, 강철 품목에 대해 존재하고 있음.


  ㅇ 물가상승률, 소비자 구매력, 달러 대 루피아 환율의 변동 등 거시경제 지표에 유의해야 하며, 특히 루피아 가치가 하락할 때 수입업자 입장에서 건설자재 원가가 상승한 바, 루피아 가치가 비교적 평이하거나 높은 시기에 맞춰 지정된 수입업자에 수출을 하는 것이 좋음.


  ㅇ 인도네시아는 메단, 마까사르, 마나도와 같은 자바 외 동부지역이 낙후됐으며, 인도네시아 정부의 관광 및 에너지 사업 육성 계획이 있어 향후 정부 주도의 인프라 사업 수 및 규모가 증가할 예정임. 이에 인도네시아 동부지역은 건설자재의 블루오션이라 할 수 있음.


  ㅇ 그러나, 인도네시아 물류 및 경제 중심지와 원거리에 있어 물류 유통 등의 비용 발생이 주요 산업지대보다 더 소요된다는 점에 대해서도 염두해야 할 것 


  ㅇ 그럼에도 정부 차원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가 증가함에 따라 실제 발생하는 수요에 대해 인도네시아 내수 시장 상황으로 따라잡을 수 있는 건설 자재의 분량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 가격과 품질 면에서 유리한 수입산에 대한 수요가 당분간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


  ㅇ 인도네시아는 기본적으로 투자진출을 하는 기업에 법인세 감면 및 자본재 통관 시 관세 혜택을 주고 있음.


  ㅇ 따라서 건설자재 분야로 인도네시아 내에서의 사업이 커질 경우,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과 합작법인을 설립해 원자재를 한국으로부터 수입하고, 현지에서 가공 생산해 유통하는 방식도 고려해볼 수 있음.


  ㅇ 또한 각 프로젝트 관련 국영 기업 홈페이지에 접속해 정부 입찰 프로그램에 참가해 거래선을 발굴하고 건설 자재를 납품하는 것도 하나의 시장 진출 전략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인프라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대기업을 파악해 연락을 취해 수입 의사 여부를 문의하는 것도 인도네시아 거래선 발굴 방법이 될 수 있음.   


  ㅇ 인도네시아 정부 당국 및 건설사 홈페이지 상 건설 자재 거래량은 판매액보다도 주로 중량으로 기재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시세를 반영하는 품목별 단가도 같이 파악하고 있는 것이 시장성 검토 및 진출 여부 판단에 유리하게 작용


 

자료원: Euromonitor, Onesource, 인도네시아 무역부, 산업부, 재무부, 세무청, 한국무역협회, 대한민국 관세청, PwC, 각 주요 건설 자재 별 인도네시아 공인 협회 및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인도네시아 건설자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