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주요 경제지표로 진단해보는 2017년 케냐 경제
  • 경제·무역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윤구
  • 2017-02-21
  • 출처 : KOTRA

- 여전히 6% 이상의 높은 경제성장률 전망 -

- 대선 및 총선 결과의 불확실성으로 경기 둔화 가능성 -

  

 


2017년 케냐 경제 전망 지표

 

  ㅇ 물가상승률: 201612월 기준 케냐의 물가상승률은 6.30%, 96.50%에 비해 하락함. EIU 국가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케냐의 물가상승률을 6% 미만으로 전망했지만 2016년 말부터 이어지는 강수량 부족과 국제 유가 상승, 케냐 실링의 약세 지속으로 인해 실제로는 7%까지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물가상승률 추이

                                                                                                                                                                  (단위: %)

구분

2016.3

2016.6

2016.9

2016.12

2017

인상률

6.88

6.46

6.50

6.30

5.70

 주: 2017년은 EIU 전망치

 자료원: 케냐 중앙은행, EIU 케냐국가보고서(2016.12)

 

  ㅇ 중앙은행 기준금리(CBR): 케냐 중앙은행 산하 통화정책위원회(MPC)20159월부터 20163월까지 기준금리를 11.5%에 고정시켰으나 6월 기준금리를 10.5%로, 9월 금리를 10%로 추가 인하함. 또한, 2016년 하반기부터 시중은행의 대출률은 중앙은행 기준금리에 최대 4% 이상 초과할 수 없게 하는 시중금리제한법을 발효하면서 은행 간 금리 역시 20166월까지 평균 17.8%를 지켰으나 20169월에는 13.88%로 하락했음. 예금금리 역시 201512월 예금 이자율 8.02% 이후 하락세를 기록, 20169월에는 6.94%까지 하락세를 보였음.

 

금리 인상 추이

                                                                                                                                                                     (단위: %)

항목별

2015.9

2015.12

2016.3

2016.6

2016.9

중앙은행 기준금리(CBR)

11.50

11.50

11.50

10.50

10.00

단기채권금리(T91)

14.61

9.81

8.72

7.25

8.06

시중은행 대출금리

16.82

18.30

17.87

18.18

13.88

시중은행 예금금리

7.28

8.02

7.17

6.78

6.94

 자료원: 케냐 중앙은행

   

  ㅇ 환율: 전 세계적인 달러화 강세의 영향으로 케냐 환율 역시 2017년에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실링의 약세는 수입 지출액의 증가를 의미하며, 수출보다 수입액의 규모가 더 큰 케냐의 특성상 수입 지출액이 증가하면 생활물가 또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환율 변화 추이

구분

2015

2016.3

2016.6

2016.9

2016.12

2017

1달러당 실링

102.31

101.33

101.10

101.26

102.24

107.50

주: 2017년도는 EIU 전망치임.

자료원: 케냐 중앙은행, EIU 케냐국가보고서(2016.12)

 

  ㅇ 정부 예산: 2015/2016 기간 동안의 케냐 정부는 총 51억 달러의 예산적자를 냈으며, 이는 GDP7.2%에 달함. 이는 2014/2015년의 적자액 50억 달러(GDP7.9%)에 비해 소폭 줄어든 수치였음. IMF2016/17년의 경우, 수출이 성장하고 관광산업이 상당히 회복이 될 것으로 보고 예산 적자액이 47억 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는 전년대비 8% 감소, GDP6.2% 규모에 해당함.


케냐 예산 운영현황

                                                                                                                                                (단위: 백만 달러)

회계연도

2013/14

2014/15

2015/16

2016/17

(적용 환율)

90.60

102.31

102.24

107.50

수입

11,783

11,874

13,516

14,552

지출

16,190

16,902

18,651

19,238

적자

-4,407

-5,028

-5,135

-4,686

주: 2017년은 IMF 전망치

자료원: IMF, EIU 케냐 국가보고서(2016년 12)

 

  ㅇ 외채 및 외환보유고: 케냐의 외채는 2015년 말 307억 달러로 GDP48.4% 수준이었으나, 2016년 말 363억 달러로 GDP51.3%를 기록, 케냐 정부의 총체적 예산 운영에 가장 큰 악재로 작용하고 있음. IMF2017년 역시, 산업기반 시설의 집중 투자로 인해 케냐의 외채 규모가 GDP53.8%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높은 경제성장률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경고함.

 

외채 및 외환보유 현황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4

2015

2016

2017

공공부채

(GDP 중 비율)

28,180

(45.9%)

30,685

(48.4%)

36,267

(51.4%)

40,408

(53.8%)

외환보유고

7,911

7,548

7,203

7,509

GDP

61,395

63,398

70,558

75,108

주: 2017년은 IMF 전망치

료원: IMF

 

  ㅇ 무역 현황: 2015년 말 기준 수출은 60억 달러, 수입은 156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6년 말 기준 수출은 64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약 7%가 증가하고, 수입 역시 16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가 증가함. IMF2017년의 경우 연말까지 수출은 최소 8%, 수입은 7% 이상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하지만, 케냐는 20178월 초에 총선이 예정돼 있어, 2017년 상반기의 경우 생활필수 소비재는 별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이나, 일반 소비재는 총선 전후의 불안을 고려해 기 구축한 재고처리 형태로 수입이 제한될 것이며, 제조업 분야의 중간재 수입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결국, 대외 수입 규모는 상반기에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선거가 원활하게 마치면 하반기에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케냐 수출입 현황 및 예상

                                                                                                                                                                   (단위: 백만 달러)

 

2014

2015

2016

2017

무역수지

-11,436

-9,580

-9,648

-10,196

수출

6,174

5,982

6,381

6,876

수입

17,610

15,563

16,030

17,071

 주: 2017년은 IMF 전망치

자료원: IMF

 

시사점

 

  ㅇ 세계은행 및 각 기관별 발표 자료를 보면, 케냐의 2017년 경제성장률 전망은 6%를 초과함. 이는 동아프리카 국가 중 에티오피아(8.9%), 탄자니아(7.1%)에 이에 세 번째로 높으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평균 경제 성장률 2.9%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 하지만, 대선 및 총선 결과의 불확실성, 지속되는 달러 강세와 예상치 못한 강우량 부족으로 인해 성장세 둔화 가능성이 존재함.

 

주요 기관별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전망

케냐중앙은행

6.0

5.8

5.7

세계은행

5.6

5.9

6.0

IMF

5.6

6.0

6.1

아프리카개발은행

5.5

6.0

6.4

   자료원: 각 기관별 발표자료 종합

 

  ㅇ 케냐의 2017년 경제상황이 밝아 보이지는 않으나, 우리의 대케냐 프로젝트 진출에 크게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 같지 않음. 그 이유는 첫째로 케냐의 투자환경이 여전히 해외에 열려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라무항 관련 프로젝트나, 올해 완공이 계획돼 있는 표준궤 철도사업, 나이로비-몸바사 고속도로 확장 등의 대규모 프로젝트는 국내 총선 여파에 좌우되지 않고 꾸준히 진행될 예정임. 둘째로, 케냐의 경제는 사하라 이남의 여타 국가들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세계은행은 향후 3년간 케냐의 경제성장률이 6%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점임.

 

  ㅇ 다만, 우리 제품의 대케냐 수출은 2016년에 감소세를 겪었으며, 2017년에도 호전될 것 같지 않음. 2016년 1~11월까지 총 1억4580만 달러로 2015년 동기대비 무려 25%나 감소했으며, 100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MTI 2단위 품목분류 기준 총 21개 품목으로, 이 중 오직 4개 품목(가정용 전자제품, 섬유사, 섬유원료, 직물)만이 전년대비 수출이 증가했음.

 

대케냐 품목별 수출 추이

                                                                                                                                                               (단위: 천 달러, %)

순위

MTI코드

품목명

2015

2016(11)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합계

256,531

-25.5

145,808

-25

1

21

석유화학제품

47,290

-40.6

31,241

-31

2

22

정밀화학제품

21,190

-8.4

19,856

1.7

3

61

철강제품

21,471

43.8

14,756

-20.8

4

72

산업기계

18,128

32.5

8,017

-48.9

5

74

수송기계

59,847

710.3

7,973

-53.8

6

44

섬유제품

8,785

-8.8

7,497

-10.9

7

82

가정용전자제품

6,882

23.8

7,359

8.2

8

42

섬유사

6,110

26.5

6,467

23

9

62

비철금속제품

9,974

-49.9

5,739

-37.9

10

25

제지원료 및 종이제품

7,541

-11.5

5,645

-18.7

11

81

산업용전자제품

9,027

53.7

4,966

-42.3

12

41

섬유원료

3,223

44.3

3,901

33.1

13

32

고무제품

3,644

-33.4

2,900

-19.1

14

83

전자부품

3,089

-36.7

2,845

-2.5

15

31

플라스틱제품

3,334

-20.9

2,385

-26.6

16

71

기초산업기계

2,922

9.8

1,948

-26.6

17

13

광물성연료

2,545

-97.7

1,925

-16.1

18

52

가구

1,861

-26.4

1,822

17.6

19

43

직물

1,188

-75.3

1,594

43.8

20

69

기타 철강금속제품

1,390

-7.2

1,040

-18

21

24

요업제품

3,687

104.1

1,037

-71.8

자료원: KOTIS 통계 

 

 

자료원: 세계은행 등 주요기관 경제전망보고서, 케냐 중앙은행 발표자료, 현지 일간 신문 및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주요 경제지표로 진단해보는 2017년 케냐 경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