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타르 '16년 경제 동향과 '17년 전망
  • 경제·무역
  • 카타르
  • 도하무역관 김민교
  • 2017-01-03
  • 출처 : KOTRA

- 전년대비 하락한 무역수지, 그러나 하락폭은 감소 -

- 비에너지분야가 경제 성장을 견인 -

- 감산 합의로 인해 내년도 재정적자폭은 축소될 전망 -

 

 

 

□ 전년대비 무역수지는 하락했으나 하락폭은 감소

 

  ㅇ '16년 카타르의 무역수지는 전년대비 약 37% 감소한 307억 달러로 전망

    -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약 16.6% 감소한 645억 달러에 그쳤으나 수출은 약 18.5% 증가한 338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 카타르의 수출량에는 큰 변화는 없으나, 주요 수출품목인 원유, 천연가스 및 관련 제품이 저유가로 인한 단가 하락에 따른 수출액 하락이 수출 하락의 주된 요인임.

 

□ 비에너지분야 성장이 경제 성장을 견인

 

  ㅇ ‘15년 GDP는 1651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약 20.2% 감소한 수치를 보임.

    - GDP의 약 40%를 차지하는 에너지분야가 약 637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약 41.3% 감소함.

    - 이에 반해 비에너지 분야는 1013억 달러로 전년대비 약 3.2% 성장한 수치를 보여, GDP의 하락세 속에 성장을 견인함.

 

  ㅇ 비에너지 분야의 약 75%(‘15년 기준)을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업은 2011년부터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15년 전년대비 약 9.4% 성장

    - 요식업 및 호텔업(10.3%)과 금융업(10.1%)은 전년대비 약 10%의 성장을 보여 전체 서비스업의 성장을 견인함.

 

□ (‘17년 전망) 2022년 월드컵 프로젝트로 건설프로젝트 관련 지출은 줄어들지 않을 전망

 

  ㅇ ‘16년에 이어 '17년에도 재정수지 적자 전망

    - 카타르 재무부 장관에 의하면, 내년도 카타르 정부 지출은 약 1984억 리얄(약 546억 달러)이며, 수입은 약 1701억 리얄(약 469억 달러)로 약 283억 리얄(약 78억 달러)의 재정적자를 보일 전망

    - 지출의 절반에 가까운 비용인 871억 리얄(240억 달러)을 교육, 보건,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와 월드컵 프로젝트에 사용할 예정. 내년도 건설,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는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적자 재정에도 불구하고 지속될 예정

 

  ㅇ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합의로 인해 재정적자 폭 축소 전망

    - 지난 11월 30일, OPEC 회원국은 하루 최대 원유 생산량을 3250만 배럴로 120만 배럴가량 감산할 것으로 합의함.

    - 또한, 12월 10일 OPEC 비회원국은 하루 평균 약 55만8000배럴의 추가 감산에 합의해 세계 산유랑이 약 180만 배럴 줄어들어 유가 상승을 기대

    - 첫 감산안 합의 후 유가는 전일대비 약 1.37%(두바이유 기준) 상승한 배럴당 50달러를 기록했으며, 내년도 유가는 배럴당 약 60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따라서, 국가 수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유가가 상승함에 따라 재정적자 폭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됨.

 

  ㅇ 2022년 월드컵, 건설 인프라 프로젝트 발주 지속 전망

    - 2022년 월드컵 프로젝트와 각종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외국인 인구의 지속적인 유입 및 이에 따른 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프로젝트는 유가 하락으로 인한 재정적 압박에도 불구하고 지속될 전망

 

 

자료원: 카타르 통계청, Qatar Monthly Monitor(QNB), EIU, Gulf News 및 KOTRA 도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 '16년 경제 동향과 '17년 전망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