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몽골 제약시장, 우리 기업에 기회
  • 트렌드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Nandintsatsral Amarsanaa
  • 2016-12-26
  • 출처 : KOTRA

- 경기침체로 수입규모 2배 축소에도 의약품 수입은 일정한 수준 유지 -



 


몽골 보건의료 프로파일

 

  ㅇ 유엔 밀레니엄 개발목표 중 모성보건 증진, 영유아 사망률 감소 목표를 달성한 국가

    - 2015년 기준 몽골 인구는 305만7000명으로, 평균 수명 69세(남 66세, 여 75세), 출산율 3.1로 세계 210개국 중 69위임(Population Reference Bureau).

    -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의하면 몽골은 1990년 이후 2015년까지 산모 사망률을 75% 이상 감소시킨 9개 국가 중 하나로 고위험 국가에서 양호한 상태로 진급함.

    - 신생아 및 아동 사망률 역시 1990년에 비해 각각 4배, 4.8배로 감소함. 유엔 새천년목표의 4번, 5번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한 것으로 평가됨.

    - 그 외 전염성 질환(바이러스간염, 각종 성병) 및 비전염성 질환 결핵 등 역시 감소시킨 성과를 보임.


모성 보건증진 및 영유아 사망률 감소 목표 달성률

분류

1990

2015

산모 사망률

100,000/199

100,000/26

신생아 사망률

1,000/63.4

1,000/15.3

5세 이하 아동 사망률

1,000/87.5

1,000/18.3

자료원: WHO


  ㅇ 그러나 새로운 위협에 직면. 대기오염으로 인한 호흡기관 질환,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심혈기관질환, 고혈압, 당뇨, 암.

    - 2015년 몽골 보건개발센터 보건보고서에 의하면 전염성 질환 발병률의 58%가 호흡기관 질환, 28%가 성병, 9%가 소화기관 질환으로 나타남.

    - 질병 이환 원인은 1위가 호흡기관, 2위 소화기관, 3위 심혈기관 질환으로 나타남. 반면에 사망 원인은 1위가 심장질환, 2위 암, 3위 외형적 요인으로 인한 부상으로 드러남.


  ㅇ 보건의료비 지출이 GDP의 2.5%에 불과

    - 몽골 보건스포츠부에 의하면 당국의 보건의료비 지출은 매년 증가했으나 2015년 기준 GDP의 불과 2.5%인 5,819억 투그릭(약 2.9억 달러)인 것으로 조사됨.

    - 이중 약 12.1%인 704억 투그릭(약 3,520만 달러)을 의약품 구매하는데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남.


 자료원: 몽골 보건개발센터


의약품 시장 개요


  ㅇ 수입의약품 시장 점유율 80% 이상

    - 2015년 기준 몽골에 제약회사 33개, 의약품 공급업체 154개, 약국 1,300개가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음.

    - 몽골 제약 협회에 의하면 당국은 제조기반의 미약 및 R&D 기술과 자본의 여력 부족으로 의약품 소비의 약 80% 이상을 수입하고 있음.

    - 2015년에 국내 33개 제약회사가 중국과 인도에서 의약품의 원료를 수입해 총 2,477만 달러의 1,064종 의약품을 제조한 것으로 나타남. 이 중 제네릭 의약품이 43%, 오리지널 전통 의약품이 57% 차지.

    - 최근 3년간 국내산 의약품 생산 비중이 증가세를 보이나 정부 지원정책 결여로 여전히 20% 수준임.


최근 3년간 수입 의약품과 국내산 의약품 시장 점유율


자료원: 몽골 관세청, 몽골 통계청


  ㅇ 의약품 등록 현황

    - 몽골에서 의약품의 현지 유통 및 생산, 판매를 위해서 현지 보건부 산하 기관 보건개발센터에 등록(Registration) 및 수입유통허가(Licensing)가 반드시 필요함.

    - 의약품 등록 및 허가 업무는 복잡한 구비서류 및 언어적 문제로 인해 통상 해외 수출자가 직접 수행이 어려우며, 현지 파트너를 통하는 것이 일반적임.

    - 1992년부터 2015년까지 총 56개국의 527개 제약회사가 제조한 4,688종 의약품을 등록했음. 이 중 수입 의약품 76.7%, 국내 의약품 23.3% 차지함.  

    - 2015년 기준 1,078개 의약품을 신규 등록했음. 이중 수입 351개, 국내 생산 전통 의약품 532개, 제네릭 의약품 195개가 신규 등록된 것으로 파악됨.


 

자료원: 몽골보건개발센터


  ㅇ 의약품 수입동향

    - 2015년 기준 몽골은 59개국에서 6,148만 달러의 의약품을 수입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것은 전체 수입액의 1.6%를 차지함. 

    - 이 중 대한국 수입액은 211만 달러로 미미한 액수며, 전체 의약품 수입액의 3.5% 차지함. HS 코드 분류로 3004.10, 3004.20류의 항생제, 3004.90류의 기타 의약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것으로 드러남. 


최근 4년간 의약품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분류

2013

2014

2015

2016년 10월

총 수입액

6,357,821.8

5,236,667.4

3,797,164.5

2,768,433.7

의약품 수입액

66,431.4

69,307.8

61,487.1

65,895

자료원: 몽골 관세청


    - 수출국가 순위로 유럽국가들인 네덜란드, 슬로베니아, 러시아, 독일, 프랑스, 헝가리, 불가리아 등으로부터 가장 많이 수입한 것으로 보임. 아시아 국가는 중국, 인도, 한국 등 국가로부터 수입한 것으로 나타남.

    - HS 코드별 통계로 분석하면 ① 3004.90류의 의약품을 가장 많이 수입했으며, 그 다음 순위가 ② 3004.10, 3004.20류의 항생제, ③ 3004.50류의 비타민 종류, ④ 3004.32, 3004.39류의 호르몬 제제들, ⑤ 3004.40류의 알칼로이드 함유 의약품, ⑥ 3004.31류 인슐린 함유한 의약품인 것으로 나타남.


최근 4년간 HS 코드별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HSCode

2013

2014

2015

2016년 10월

수입액

한국

수입액

한국

수입액

한국

수입액

한국

3004.10

2,576.6

-

3,867.2

0.03

3,327.4

7.8

3,509.5

122.7

3004.20

9,059.7

604.6

8,605.9

635.3

6,406.6

414.9

6,941.1

448

3004.31

338.4

-

668.9

6.9

449.8

-

601.5

-

3004.32

358.9

-

694.8

0.25

697.7

0.08

627.1

6.4

3004.39

671.1

-

1,035.5

18.5

1,875

62.7

1,483.5

5.4

3004.40

196.4

-

671.7

-

1,059.4

2.3

734.4

-

3004.50

4,182.4

73

4,475.9

20

4,576.8

55

2,994

24.2

3004.90

47,130.9

1,921.8

47,835.4

2,411.5

42,116.8

1,570.6

48,179.2

1,977.9

합계

64,514.9

2,599.5

67,855.7

3,092.7

60,509.8

2,113.6

65,070.7

2,584.8

자료원: 몽골 관세


현지 약국에서의 수입산 의약품 진열 상태


    - 국가별 수입통계를 살펴보면 항생제는 네덜란드 및 러시아, 비타민 종류는 프랑스, 호르몬 제제는 러시아와 독일, 인슐린은 덴마크, 알칼로이드 함유 의약품은 헝가리로부터 가장 많이 수입한 것으로 나타남.


 2015년 국가별 수입 순위

                                                                                                            (단위: 천 달러)

HS Code

3004.10

3004.20

3004.31

3004.32

총 수입액

3,327.4

6,406.6

449.8

697.7

1

네덜란드

(1,565.4)

러시아

(1,440.8)

덴마크

(405.5)

러시아

(179.2)

2

슬로베니아

(709.4)

슬로베니아

(955.3)

미국

(38.4)

이태리

(111.4)

3

중국

(334.2)

네덜란드

(661.2)

프랑스

(3)

슬로베니아

(98.3)

-

한국

(15위 / 7.8)

한국

(6위 / 414.9)

한국산 수입 없음.

한국

(21위 / 87.2)

HS Code

3004.39

3004.40

3004.50

3004.90

총 수입액

1,875

1,059.4

4,576.8

42,116.8

1

독일

(440.1)

헝가리

(406.5)

프랑스

(1,153.6)

독일

(7,855.6)

2

네덜란드

(274.1)

인도

(233.6)

독일

(844.6)

슬로베니아

(6,706.4)

3

스위스

(224.2)

슬로베니아

(132.3)

러시아

(625.2)

헝가리

(4,576.5)

-

한국

(9위 / 62.7)

한국

(14위 / 2.3)

한국

(13위 / 55)

한국

(6위 / 1,570.6)

자료원: 몽골 관세청


현지 약국에서의 수입산 의약품 진열 상태



□ 시장 진출을 위한 조언


  ㅇ 한-몽골 EPA 체결로 의약품 진출 확대 기대

    - 2016년 7월 양국 정상이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회담. 주요 협력에 합의한 것 중 하나가 ICT기반 의료기술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임.

    - 아울러 단기적으로 ICT기술을 활용한 원격의료분야 협력이 우리 기업들의 의약품시장 진출에 기반이 될 것임. 중기적으로 양국 간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은 상호보완적 품목인 의약품 진출에 큰 추동력이 될 것이라 기대됨.


  ㅇ 현지 유력 의약품 유통상을 통한 수출이 관건

    - 현지 의약품 시장에는 수백 개의 유통업체가 존재하나 병원, 약국 유통 체인점으로 탄탄한 판매망을 형성하고 있는 상위 의약품 전문 유통업체를 통한 시장 진출이 효율적

    - 해당 업체들은 현지 등록, 인허가에 대한 노하우 및 현지 정부기관 인사들과의 네트워크 보유하기 때문임.


  ㅇ 몽골 의약품 시장은 경기 침체로 인해 저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꾸준한 관심과 투자가 필요

    - 최근 3년간 경기 침체로 수입규모가 2배로 축소됐음에도 불구하고 의약품 수입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또한 유럽산 제품과 비교했을 때, 한국 제품은 가격과 품질 면에서 경쟁력이 있어 관심을 갖고 진출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몽골 통계청, 몽골 관세청, 몽골 보건개발센터, WHO, KOTRA 울란바토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몽골 제약시장, 우리 기업에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