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세계 최고 우주강국으로의 야망
  • 트렌드
  • 중국
  • 샤먼무역관
  • 2013-12-06
  • 출처 : KOTRA

 

중국, 세계 최고 우주강국으로의 야망

- 미국, 러시아와 함께 세계3대 우주강국으로 부상 -

- 연평균 25% 이상의 속도로 신소재산업 성장 중 -

 

 

 

자료원: Nipic(昵图网)

 

□ 중국 항공우주산업 역사, 현황 및 앞으로의 계획

 

 ○ 역사

 

날짜

내용

1957년 11월

중국로켓기술연구원 창설

1965년 9월

중국과학원 위성설계원 발족. 인공위성설계 착수

1970년 4월

첫 번째 인공위성 둥팡홍() 발사. 소련, 미국, 프랑스, 일본에 이어 세계 다섯 번째로 성공

1975년 11월

첫 번째 회수식 인공위성 FSW-01 발사

1981년

첫 번째 다중위성 펑바오(暴) 발사

1988년

첫 번째 기상관측위성 펑윈(云) 발사

1992년 9월

3단계 유인우주프로젝트계획 921공정(921工程) 수립

1999년 11월

선저우(神舟)1호 발사. 유인우주선 발사를 위한 네 가지 실험

2001년 1월

선저우(神舟)2호 발사

2002년 3월

선저우(神舟)3호 발사. 인간모형 탑재

2002년 12월

선저우(神舟)4호 발사. 인간모형 탑재

2003년 10월

첫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5호 발사. 소련, 미국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성공

2005년 10월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6호 발사

2007년 10월

달 탐사선 창어(嫦娥)1호 발사

2008년 9월

세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7호 발사. 첫 우주유영 성공

2010년 10월

달 탐사선 창어(嫦娥)2호 발사

2011년 9월

실험용 우주정거장 톈궁(天)1호 발사. 소련, 미국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우주정거장 발사

2011년 11월

선저우(神舟)8호 발사. 톈궁(天)1호와 두 차례 도킹(docking) 성공. 미국, 소련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도킹(doking) 성공

* 도킹(docking): 인공위성, 우주선이 우주공간에서 서로 결합하는 것

2012년 6월

네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9호 발사

2013년 6월

다섯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10호 발사

2013년 12월

달 탐사선 창어(嫦娥)3호 발사. 달 탐사차 옥토끼(玉) 탑재. 첫 번째 달 착륙 시도

자료원: BaiduBaike(百度百科), KOTRA 샤먼 무역관

 

 ○ 현황

  - 2003년 중국의 첫 번째 유인우주선인 선저우(神舟)5호를 발사한 지 10년 만에 미국, 러시아를 위협하는 세계 3대 우주강국으로 부상함.

  - 2012년 미국을 제치고 발사체 수 기준 세계 2위의 로켓 발사국으로 올라섬.

 

 ○ 앞으로의 계획

 

날짜

내용

2015년

톈궁(天)2호 발사

2023년

우주정거장 건설완료

2025~2030년

우주인 달 착륙. 원격탐사-착륙-탐사의 3단계 화성 프로젝트

자료원: BaiduBaike(百度百科), KOTRA 샤먼 무역관

 

□ 정부의 정책

 

 ○ 863계획(863计划)

  - 1986년 3월 원로 과학자들의 건의에 따라 덩샤오핑(小平)의 지시로 수립된 첨단기술연구 발전계획. 항공우주분야가 핵심7개 분야에 포함돼 미사일, 핵·항공우주 관련기술이 크게 성장하는 계기가 됨.

 

 ○ 921공정(921工程)

  - 1992년 9월 정식 승인된 유인우주비행 프로젝트로 유인우주선 발사, 우주도킹 실험, 우주정거장 건설의 ‘세 걸음 전략(三步走略)’을 기본으로 함. 이미 1999년 선저우(神舟)1호 발사를 통해 유인우주선 발사, 2011년 선저우(神舟)8호의 발사를 통해 우주도킹 실험에 성공함에 따라 마지막 세 번째 걸음인 우주정거장 건설만 남음.

 

 ○ 국가 차원 우선정책 대상으로 선정

  - 지난 20년간 약 390억 위안의 예산을 투자해 유인우주플랫폼, 우주발사체, 위성 등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함.

  - 베네수엘라, 나이지리아 등 제3국의 위성을 제작해 수출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해 1990년대 이후 약 30여 개의 외국위성을 발사함.

  - 2003년 유인우주선인 선저우(神舟)5호 발사성공 이후 우주개발분야에서 급성장한 중국 정부는 국력 강화, 과학기술 국제경쟁력 제고, 경제성장, 국방현대화를 위해 우주개발을 국가 차원의 우선정책 대상으로 선정함.

 

 ○ 달탐사계획(月球探工程)

  - 2004년 무인 달 탐사, 유인 달 착륙, 달 기지건설의 세 단계로 구성된 달 탐사계획인 창어공정(嫦娥工程)이 시작됨. 2007년 창어(嫦娥)1호를 발사한 데 이어 2010년에는 창어(嫦娥)2호, 2013년에는 창어(嫦娥)3호를 발사함. 특히 지난 2일에 발사된 창어(嫦娥)3호는 달 궤도에 진입한 후 탐사차량인 위투(玉)를 표면에 내려 달의 지형과 지질구조, 자원 등을 탐사하고 각종 사진과 관측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할 예정임.

 

 ○ 우주정거장(宇宙空站)

  - 실험용 우주정거장 건설계획 톈궁(天)은 921공정(921工程)에서 시작됨. 2011년 톈궁(天)1호를 발사함에 따라 소련, 미국에 이어 세계 세 번째 우주정거장 발사국이 됐으며 2015년에는 톈궁(天)2호, 2015년 혹은 2016년에는 톈궁(天)3호를 발사할 계획임.

  - 중국 유인우주비행계획(中国载人航天计划)에 따라 약 150억 위안을 투입해 2020년까지 영구적인 우주정거장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베이더우(北斗航)

  - 미국의 GPS, 러시아의 GLONASS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시도되는 중국의 독자적 위성항법시스템임. 2000년부터 베이더우(北斗航)를 위한 위성개발이 시작돼 2007년에는 베이더우(北斗航) 위성1호를 발사, 2020년까지 총 30개의 위성을 발사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음.

  - 2012년 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해 태국에 진출한 데 이어 라오스, 브루나이에도 진출할 예정임.

 

□ 시사점

 

 ○ 신소재산업 전망 밝아

  - 12차 5개년계획(十二五规划)에 따르면 2015년까지 신소재산업 총생산액은 2조 위안에 이르며 연평균 2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됨.

  - 2015년 중국의 탄소섬유 수요량은 1만35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중국의 탄소섬유 자급률은 30% 미만임.

  - 이 외에도 티타늄 합금이 있는데, 중국에서 티타늄 합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야는 항공우주산업임.

 

 ○ 2020년 세계 유일의 우주정거장 보유국이 될 전망

  - 중국이 독자적 우주정거장 건설을 완료할 때쯤인 2020년에는 현재 미국과 러시아가 공동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수명을 다해 중국이 세계 유일의 우주정거장 보유국이 될 것으로 예상됨.

 

 ○ 베이더우(北斗航) 서비스의 전 세계 확대 계획

  - 2020년쯤에는 베이더우(北斗航) 서비스가 전 세계로 확대될 예정이고, 중국과 주변 지역에는 ㎝급 위치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임.

  - 2015년에는 베이더우(北斗航) 위성항법 및 위치서비스로 벌어들일 수 있는 수익이 2250억 위안을 2020년에는 4000억 위안이 넘을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百度百科, 福建日, 海西晨, 厦报, KOTRA 샤먼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세계 최고 우주강국으로의 야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