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네시아 리튬이온 배터리 산업
  • 트렌드
  • 인도네시아
  • 수라바야무역관 김희철
  • 2020-10-23
  • 출처 : KOTRA

- 인니정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을 고부가가치산업육성 기회 및 향후  자동차산업으로 확장할 초석으로 -

- 다만 현지 정부의 정책 일관성 부재, 낮은 수준의 노동력 및 까다로운 노동 규제, 비즈니스를 위한 숨은 비용 등 개선 필요 -



 

현황


인도네시아는 현대자동차와 브카시 델타마스 공단에 연산 15만대 규모의 완성차 공장 투자협약을 체결한데 이어 최근에는 고위급 관계자들이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 유치를 위해 직접 방한했다. 인도네시아는 산유국임에도 에너지 자원 매장량 고갈 및 자국 수요 대비 공급 부족으로 인해 자원 수입량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인니 정부는 자국 내 니켈 제련 공장 및 리튬이온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을 꾸준히 언급하고 있으며, 기술 수준 부족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 중국 CATL, 독일 BOSCH 등에도 투자를 요청한 바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적인 니켈 생산국으로서, 2019년에만 약 80만 톤의 니켈을 수출했으며 정부 기관에서 추정한 미개발 자원의 매장량이 아직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7년 인도네시아 니켈 및 코발트 매장량 (추정)

external_image

자료: 인니 에너지광물자원부(Kementerian ESDM)

 

2019년 주요 국가별 니켈 생산량

(단위: 톤)

external_image

자료: Statista (단위: ton)

 

산업 동향


시장 분석 기관들에 따르면, 니켈, 코발트, 망간의 각 소재 비율이 6:2:2인 리튬이온 배터리가 주로 사용 중이나 점차 니켈 비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 계속 니켈 가격의 상승을 예상하고 있다. 또한 EU의 2025년 화석연료 차량 사용 중단 정책 등 전기차 시장으로 전환이 빨라지고, 배터리의 주 원료인 니켈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리튬 수요 산업의 비중 변화

external_image

자료: 포스코 경영연구원

 

현재까지 총 5개의 니켈 제련을 위한 현지 공장이 건설되었으며, 자국 내에서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인니 정부는 2020년 1월 니켈 원광(Nickel Ore)에 대해 수출 금지를 발표했다.

 

수산화리튬 수요량 전망

(단위: 천 톤)

external_image

자료: 포스코 경영연구원

 

현재 중부 술라웨시 지역의 모로왈리 공단(IMIP)에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시설 개발 추진 중이며, 국가개발기획부 장관은 이 지역에 대규모 리튬이온 배터리 공장을 설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까지 CATL, LG,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테슬라 등이 컨소시엄 형태로 40억 달러 규모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책 및 규제


정부는 ‘배터리식 전기차 프로그램 촉진에 관한 2019년 대통령령 제55호(Perpres No.55 2019)’를 통해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 청사진을 만들었고, 자국산 부품(TKDN) 사용, 세제 혜택 등을 규정하고 있다. 작년 말에는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령 제11호(Permen ESDM No. 11 2019)’에 따라 2020년 1월부터 니켈 원광 금수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은 이 조치로 인니 니켈 산업의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인도네시아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을 위해 발표한 ‘대통령령 2019년 제55호(PP Nomor 55 Tahun 2019)’에는 대부분 ‘자국 내 생산’을 강조하고 있는데 전기차 위탁생산(OEM) 기지는 물론 배터리와 같은 핵심 생산 시설을 자국에 두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부품 업체 성립 요건

요건

전기자동차 업체

전기자동차 부품업체

현지 전기자동차 제조 시설 구축 여부

인도네시아 법규를 준수해 시설 구축

인도네시아 영토에서 운영돼야 할 것

전기자동차 생산시설 또는 이의 조립 라인에 대한 영업허가증(IUI) 보유

X

전기자동차 부품 생산시설 또는 이의 조립 라인에 대한 영업허가증(IUI) 보유

X

자료: 인도네시아 대통령령 2019년 제55호(PP Nomor 55 Tahun 2019)

 

전기자동차 유형별, 기간별 자국산 비중

Type-1 차량

(이륜 및/또는 삼륜 전기자동차)

 - 2019~2023년: 국내산 비중 40%

 - 2024~2025년: 국내산 비중 60%

 - 2026 년~ : 국내산 비중 80%

Type-2 차량

(사륜 이상 전기자동차)

 - 2019~2021년: 국내산 비중 35%

 - 2022~2023년: 국내산 비중 40%

 - 2024~2029년: 국내산 비중 60%

 - 2030년 이후: 국내산 비중 80%

자료: 인도네시아 대통령령 2019년 제55호(PP Nomor 55 Tahun 2019)

 

기업 유형별 수입 조건 및 수입 가능 제품

기업 종류

수입 조건

수입 가능 제품

자동차 기업

현지 전기자동차 생산시설 구축

계획이 있어야 할 것

완성차(CBU, Complete Body Unit)  형태의 전기자동차 수입은

수량 및 수입 기간에 제한 있음.

부품 기업

1차 전기자동차 부품 및 기타 전기자동차

부품 생산이 불가해야 할 것

다음과 같이 2가지 종류의 부품 수입 가능

1) IKD(Incompletely Knocked Down)형 부품

2) CKD(Completely Knock Down)형 부품

: 인도네시아 대통령령 2019년 제55호(PP Nomor 55 Tahun 2019)

 

주요 기업

 

기업명

특징

GEM Co. Ltd.

external_image

ㅇ 인도 기업

1979년 설립

ㅇ 분야: 인버터, UPS, 차량용 배터리, 태양광 조절 장치

ㅇ 중국의 Tsingshan Group CATL, 일본의 Hanwa와 컨소시엄 형태로 리튬이온 배터리 원료 공장 건설

Contemporary Amerex

Technology Co. Limited

external_image

ㅇ 중국 기업

2011년 설립

ㅇ 분야: 차량용 리튬이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배터리 재활용

PSA, 현대, 혼다, BMW, 테슬라 등과 협력

PT. Nipress

external_image

ㅇ 인도네시아 기업

1970년 설립

ㅇ 분야: 차량용 배터리, 오토바이용 배터리, 산업용 배터리

연간 250만 개의 차량 및 산업용 배터리 및 400만 개의 오토바이용 배터리 제조

ㅇ 보고르 지역에 인도네시아 최초 리튬 배터리 공장 건설

자료: 각 기업별 홈페이지

 

현지 전문가 코멘트 및 시사점


전기차 전문매체 Electrive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배터리 제조업 유치를 위해 중국 CATL과 한국LG화학의 투자를 유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인도네시아 배터리 홀딩스’를 구성해 광물부터 중고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ESS 사업까지 전후방을 아우르는 사업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합작사에 참여한 기업은 인니 국영회사 MIND ID, ANTAM, PLN, Pertamina와 PT Indonesia Asahan Aluminum이라고 밝혔다. 인터뷰에 응한 업계 관계자는 과거부터 정부차원에서 테슬라, CATL, 독일 완성차 업계를 언급하며 투자 컨소시엄에 대한 홍보를 내보내고 있으나, 몇 년이 흐른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되거나 이뤄진 것은 없다며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기에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인도네시아 내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업은 초기 단계에 있으나 정부의 해외 투자 유치를 통한 산업 육성에 의지가 강하다. 하지만 산업 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준비 없이 시행한 니켈 원광 수출 금지로 최근 니켈 광업 협회(APNI)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여파 극복을 위해 니켈 원광 금수조치 완화 요구했으며 여러 잡음이 불거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니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은 자국의 자원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진입하기 위한 기회이며, 향후 자동차를 비롯한 연관 산업으로 확장하기 위한 초석으로 보고 있다. 다만 꾸준히 지적된 현지 정부의 정책 일관성 부재, 낮은 수준의 노동력 및 까다로운 노동 규제, 비즈니스를 위한 숨은 비용 등은 여전히 현지 진출 시 난관으로 지적되고 있어, 향후 외국 기업의 투자 확대에는 정부의 개선 의지가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작성자: 수라바야 무역관 황현종

자료: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포스코 경영연구원, Jakarta Post, Statista, 각 기업별 홈페이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리튬이온 배터리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